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 집에서도 SNS 대화…천리안은 기억나세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27초

한 집에서도 SNS 대화…천리안은 기억나세요?
AD


[아시아경제 권용민 기자] 한 침대에서도 페이스북을 통해 의사소통 하는 부부. 방에 있는 아들에게 밥먹으라고 댓글 남기는 엄마. 손으로 쓴 편지 대신 쪽지를 남기는 커플. 우리는 이미 가랑비에 옷 젖듯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젖어 산다. 파란 화면에 시끄러운 연결음으로 시작된 서비스가 진화해온 SNS의 역사는 가히 눈부시다.

'삐~삐~ 치이이이이익~'


1990년대는 전화선을 통해 누군가와 연결돼 있다는 자체가 신기했었다. 온라인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 PC통신은 지금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PC통신이 처음 만들어진 것은 1988년(천리안)과 1989년(하이텔)이다. 1994년에는 나우누리, 1996년에는 유니텔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터프남자', '꼬마키드', '분말스프' 등 개성있는 대화명으로 누군가를 사귀고, 영화·음악·컴퓨터·스포츠 등 다양한 주제의 온라인 동호회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초고속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PC통신은 잊혀지기 시작했다. 프리챌 커뮤니티와 다음 카페 등의 서비스가 PC통신 동호회를 대체하기 시작한 것이다. 지역이나 회사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커뮤니티도 만들어졌지만 기본적으로 당시의 SNS는 대규모 회원을 운영하는 클럽 형태였다. 주로 공통된 관심사를 전제로 했다.


그러다 아이러브스쿨, 싸이월드 등 '온라인형' 오프라인 관계가 떠올랐다. 본격적으로 인간 관계가 온라인으로 속으로 들어가면서 일상과 사이버 세상이 연속성을 지니게 된 것이다. 2001년 등장한 싸이월드에서 이용자는 미니홈피를 아기자기하게 꾸미고 좋아하는 음악과 폰트를 구입해 친한 '일촌'과 일상을 공유할 수 있었다.


2000년대 중후반까지 이어지던 싸이월드 인기는 과도한 유료화 정책, 메신저와의 연동서비스 부재로 사그라들기 시작했다. 결정적으로 2009년 국내에 아이폰이 들어오며 불기 시작한 모바일 붐에 대응하지 못했다.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모바일 기기에 맞게 제한된 글자 수로 소식을 전할 수 있는 해외서비스들이 인기를 얻었다. 전 세계적인 플랫폼으로 성장한 트위터, 페이스북이 국내 사용자들을 잠식했다. 자신의 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시간에 따라 새로운 소식이 보일 수 있게끔 디자인된 방식으로 온·오프라인 사이의 벽을 허물며 점차 생활과 SNS를 밀착시켰다.


하지만 일상으로 들어온 SNS는 오프라인과의 결정적인 차이가 있었다. 현실 세계에서는 모두가 광장에 모이는 게 아니라 무리를 지어 만남을 가진다는 것. 이를 반영한 네이버 밴드나 카카오의 카카오그룹이 2012년과 2013년에 각각 출시됐다. 가족끼리만 모임을 개설하거나 동창, 회사 팀 동료들과 모임을 만들 수 있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SNS가 점점 지인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관심사를 바탕으로 한 커뮤니티 입지는 축소됐다. 취향이 같은 '낯선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온라인 공동체의 특성을 살린 모바일 SNS가 나타나면서다.


한편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7일 공개한 'SNS의 이용과 개인의 사회관계 변화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이 같은 SNS 이용행태 변화는 우리 사회가 글로벌 정보통신기술의 흐름에 뒤쳐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우리나라 SNS가 오프라인 관계 유지를 위한 보조적 채널로만 활용된다면 SNS를 통한 사회관계 확대가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대해 조성은 KISDI 미래융합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이런 현상을 부정적으로만 보지않고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사회연결망을 활용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권용민 기자 festy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