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라인, 밴드는 점점 인기
트위터, 페이스북은 점점 퇴화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우리나라 국민들의 소셜네트워크(SNS) 이용행태가 '폐쇄형'으로 바뀌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폐쇄형 SNS에는 카카오의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와 네이버의 라인, 밴드 등이 있다.
7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SNS의 이용과 개인의 사회관계 변화 분석 SNS 연결관계를 통한 신뢰 사회 구현에 대한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KISDI 미래융합연구실 조성은 부연구위원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교류하기 위한 SNS 이용 행태가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개방형 SNS에서 다시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라인, 밴드 등의 폐쇄형 SNS로 전환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0∼2011년까지 2년여 동안 우리나라 SNS소통을 주도했던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안정기를 넘어 이용자 감소라는 퇴화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반면 최근에는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를 비롯해 라인, 밴드 등 다시 국내 SNS로 주이용 서비스가 바뀌고 있다.
조 부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SNS가 오프라인 관계 유지의 보조적 소통 채널로만 활용된다면 SNS를 통한 사회관계 확대가 가져올 긍정적 효과인 ▲사회여론 형성의 대안 채널 ▲정보교류수단의 확장 ▲집단지성을 통한 사회가치 창출 등 새로운 미래가치 창출의 기대는 요원해질 것이고 SNS 연결망 확대와 함께 글로벌 ICT의 발전 흐름인 ‘개방·공유·소통·협력’에도 뒤처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SNS 연결망을 활용해 사회적 가치를 극대화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폐쇄적 SNS 이용 쪽으로 기우는 흐름을 부정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사회연결망을 어떻게 가치 있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지인 중심의 소규모 폐쇄형 네트워크로부터 사회적 신뢰 비용 감소라는 긍정적 효과를 끌어내는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다. 즉 소규모 고밀도 네트워크 내의 신뢰 관계와 각각의 작은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커넥터의 활용성 향상을 꾀하는 것이다.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의하면 폐쇄형 SNS으로의 전환은 특히 30대 이상의 이용자들에게서 두드러졌으며, 10대에서 20대 그룹에서는 교류의 범위를 한정시키는 폐쇄형 SNS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교류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페이스북 등의 SNS도 병행 활용해 SNS를 통한 사회관계 확대에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와 관련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 내용을 살펴보면 10대, 20대 초반 그룹은 또래와의 소통과 관계 확대에 대한 욕구가 드러난 반면, 다양한 사회적 배경의 사람들과의 교류에 대한 관심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30대 이상의 응답자 그룹에서 다양한 사회적 배경의 사람들과의 교류에 대한 관심이 나타났는데 그 관심만큼 실질적 행동이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SNS를 통한 사회관계 확대를 전제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미래 사회가치 창출의 결과 중 하나를 '공유경제(sharing economy)'로 보고 국내외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 공유경제에 대한 이용자 인식을 살펴봤다.
공유경제는 SNS를 통해 낯선 이와의 신뢰 형성이 가능하다고 전제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가치 창출 및 기존 비용이 감소되는 사회적 효과를 기대한다. 즉 SNS에서의 자신 공개는 사회적 신뢰 혹은 평판을 확인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신뢰 형성이라는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 SNS 이용행태는 SNS를 통해 사회적 평판을 확인하고 신뢰를 형성하며 공유경제를 활성화하는데 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타인의 사회적 신뢰를 SNS를 통해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공개된 SNS 활동 내역도 타인에게 신뢰를 주기엔 충분하지 않은 빈약한 공개수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국내외 공유경제 서비스 비교분석에서도 국외 공유경제 서비스가 SNS 프로필 페이지를 거래자 간 신뢰확인 도구로 이용하는 데 비해 우리나라 공유경제 서비스는 최초 개인인증절차의 수단으로만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