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합병·법정관리…건설업계 지각변동 가속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2초

현대엠코-현대엔지니어링 합병땐 시공능력 10위 등극
공정위 등 사정기관 전방위 압박도 판도변화 촉진 요인


[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 박미주 기자]건설업계의 지각변동이 빠르게 이뤄질 전망이다. 현대차 그룹 계열사인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엠코가 전격 합병을 결정하면서 업계 8위의 대형 건설사 탄생을 눈앞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공공부문 SOC사업에 대한 대대적인 공정위ㆍ검찰 조사 등으로 해외시장에 올인하는 분위기여서 해외부문 수주가 업계의 판도를 빠르게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1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현대엠코와 현대엔지니어링은 16일 오전 각각 이사회를 열어 합병을 결정했다. 합병은 현대엔지니어링이 현대엠코를 흡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이번 합병안은 주주총회를 거쳐 4월 최종 마무리된다.


두 회사가 합병하면 매출기준으로 업계 8위, 시공능력평가 순위 10위의 대형사가 탄생하게 된다. 2012년 기준 두 회사의 총 자산은 3조5737억원, 매출은 5조1455억원, 영업이익은 4214억원, 당기순이익 3277억원 규모다.

합병으로 인해 시공능력순위가 급상승하는 회사가 생기는 가운데 하락하는 경우도 불가피하다. 대표적인 곳이 쌍용건설. 올 초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쌍용건설은 시공능력순위가 2013년 기준 16위에서 올해에는 20위권 밖으로 밀려날 것으로 전망된다. 매출액이 크게 줄지 않더라도 지난해 감자 등으로 자본금이 대폭 줄었고 신규 수주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매출실적은 3년간 평균으로 하기 때문에 당장 매출 감소가 순위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면서도 "영업이익이 마이너스였고 자본금이 대폭 줄어 쌍용건설이 시평 순위 30위권 밖까지 말려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올 1분기 해외수주 공사들이 대거 완공단계에 접어드는 것도 건설업계의 판도변화를 촉진하는 중요한 터닝포인트가 될 수도 있다. 현대건설, 대림산업, 삼성엔지니어링, GS건설, 대우건설, 삼성물산 등 국내 6대 건설사가 2009∼2011년까지 3년간 중동에서 수주한 플랜트 공사 41조8000억원 규모 중 30조6000억원 규모가 올해 종료된다. 특히 1분기에 끝나는 중동 플랜트 공사가 총 17조5000억원 규모에 이른다. 지난해 해외부실을 정리하면서 GS건설 등이 실적쇼크가 왔던 만큼 올 1분기 실적이 대형사 실적의 최대 고비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더욱이 사정기관의 전방위 압박도 건설경기 침체로 휘청이고 있는 건설업계에 악재로 작용하며 판도를 뒤흔들 전망이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는 대구도시철도, 호남고속철도, 원주-강릉 고속철도, 경인아라뱃길 사업 등 지난 정부가 발주한 주요 공공공사에 대한 입찰담합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 대상 사업이 10개 안팎에 달해 과징금 규모가 최대 1조원에 달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앞서 공정위는 지난 정부 국책사업인 4대강 사업과 인천도시철도 2호선 건설공사에 대한 조사를 벌여 건설사에 무더기로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이에 건설협회가 건설산업 경쟁력이 총체적으로 어려움에 부딪힐 수 있다고 보고 정부에 선처요구까지 할 계획이다. 협회 관계자는 "지난 정부에서 과거 관행에 따라 있어온 입찰에 대한 조사를 최소화하고 과징금 등 제재 수위를 낮춰달라고 공정위 등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의 규제완화도 지각변동에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해외보다 국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중견 건설사들이 수혜가 예상된다. 국회가 취득세 영구인하와 수직증축 리모델링 허용,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를 통과시키면서 건설업계도 숨통이 트일 것이란 전망이 크다. 기존 미분양 물량이 해소되고 신규 분양시장이 탄력을 받을 경우 국내 시장에 타깃을 잡고 있는 건설사들의 약진도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다.


대형사 중에서는 대우건설, 현대산업개발, 현대엠코, 롯데건설 등의 국내 사업장이 많은 상황이다. 특히 수직증축 리모델링에 기대하는 목소리가 크다. 준공 후 15년이 경과된 수직증축 리모델링 대상 아파트는 전국적으로 428만가구로 이중 서울 수도권에만 총 30개 단지에서 2만2600가구에 이른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