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업무 스트레스와 고령화, 환경호르몬 등의 영향으로 30대 후반~40대 초반의 남성 불임 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4년(2008~2012)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불임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2008년 16만2000명에서 2012년 19만1000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성 환자가 연평균 11.8% 급증해, 여성 환자의 연평균 증가율(2.5%)을 4.7배나 앞질렀다.
정재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과거에는 불임을 모두 여성의 책임으로 전가하려는 사회적 풍조가 있었지만 근래에 남성 인자에 대한 검사가 활발히 이뤄지면서 불임 치료를 받는 남성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본다"설명했다.
이어 "업무 스트레스, 고령화, 환경 호르몬 등으로 인한 남성 인자의 증가를 고려해볼 수 있다"며 "남성인자 검사 전 10일 정도 금욕 생활을 하고 금연, 금주 후 검사를 하면 상태가 회복돼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2012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 환자 수를 보면, 30~34세 여성이 365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35~39세 여성(1920명), 25~29세 여성(1352명) 등의 순이었다.
최근 4년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 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남성 환자의 경우 35~44세에서 연평균 16.2%나 증가했다. 여성은 35~39세에서 연평균 10.8% 늘어 1위를 차지했다.
정 교수는 30대 후반~40대 초반에서 불임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결혼 시기는 30대 초반 이후, 본격적으로 임신을 시도하는 시기는 30대 중반으로 늦춰지는 경향이 있다"며 "통상 결혼 후 1~2년은 자연 임신을 시도하다 실패한 후 병원을 찾게 되는 시기는 35세 이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