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백우진 기자] 북한이 사이버 공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국의 수학ㆍ과학 영재를 선발해 초등학생 때부터 국내외에서 체계적으로 교육ㆍ육성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국 국방부 산하 연구기관인 아시아태평양안보연구소(APCSS)의 스티븐 김 교수는 3일(현지시간) 워싱턴DC 한미경제연구소(KEI)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탈북자 증언 등을 토대로 이같이 주장한 뒤 “이 덕분에 현재 북한은 3000여명의 전문 해커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선발된 초등학생들은 우선 북한 내 최고의 시설에서 일정 과정을 거쳐 경쟁을 통과해야 한다”면서 “이후 러시아나 중국에서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을 받은 뒤 작전에 투입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이 1990년대 중반 중국과의 군사교류를 통해 500명의 해커로 구성된 사이버부대를 창설한 뒤 일선 학생들을 해커로 집중 육성했으며, 이들에게는 주택 공급 등의 특혜를 주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김 교수는 북한이 이처럼 사이버 역량을 강화하는 것은 핵프로그램 폐기에 대한 대외적인 압박을 상쇄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세계적인 정보기술(IT) 강국인 한국의 정부ㆍ민간 네트워크를 무력화시켜 물리적ㆍ경제적 피해를 주는 것은 물론 한국 국민의 혼란과 공포를 일으키고 남남갈등을 조장한다는 것이다.
또 최근 재래식 전력이 약화하고 있으나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에 대한 자신감이 커지면서 비용과 리스크 부담이 작은 데 비해 강력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사이버도발수위를 강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북한은 IT산업이 취약하기 때문에 사이버도발을 하더라도 한국의 보복 공격으로 잃을 게 없다”면서 “따라서 제2의 천안함 사태, 연평도 사태 등 한미 양국의 반격이 불 보듯 뻔한 군사적 도발보다는 앞으로 대규모 사이버 공격에 나설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로서는 북한이 전력, 통신, 교통 등 핵심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공격에 나설 가능성에 대비해 물리적 보복을 경고하면서 억지력을 발휘해야 하는 상황이나 이런 시도가 먹히지 않으면 군사적 충돌로 이어지면서 한반도 위기가 최고조에 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2008년부터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면서 한반도는 '새로운 위험단계'에 접어들었다”면서 “다음 번 도발은 한국의 대응공격으로 이어져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백우진 기자 cobalt10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