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나라장터, 아파트관리 투명성·효율성 이끌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조달청, 민간개방 2개월 만에 300여 아파트단지 등록 및 18건 입찰 진행…“정부 3.0 결실” 분석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인 나라장터가 민간개방 2개월 만에 아파트관리비 집행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달청은 3일 공공부문에서만 쓰던 ‘나라장터’를 아파트관리비 집행과 관련된 비리와 입주민들의 갈등문제를 풀기 위해 지난 10월1일부터 민간에서도 쓸 수 있게 개방한 결과 이런 성과를 얻고 있다고 밝혔다.

나라장터 개방 2개월 만에 300여개 민간아파트단지가 이용하기 위한 등록을 마쳤고 18건의 전자입찰이 진행되고 있다.


전자입찰의 경우 도서, 가구, 복사기, 태극기 등 물품구매는 물론 엘리베이터 설치공사, 위탁관리업자 선정 용역, 화재보험 등 종류도 갖가지고 1억원 이상도 2건이나 된다.

대전시 서구 신동아아파트단지는 나라장터를 통해 청소·소독업체(1억4200만원)를 선정했고 대전 중구 버드네아파트단지는 화재수신기(1억7200만원)를 입찰로 샀다.


입찰이 끝난 12건을 분석한 결과 지역제한이나 특정규격으로 공고한 일부 건을 빼고 6건은 5개사 이상 투찰했다. 위탁업체를 선정하는 2건은 10개사 이상이 참여해 실질적인 경쟁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17년간 한 업체가 독점위탁관리 하던 서울 우성그린아파트의 경우 새 위탁관리업체를 정하고 한해 600만원의 관리비를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대전의 버드내아파트는 화재수신기 교체공사에서 3000만원, 신동아아파트는 청소?소독업체 선정에 연간 700만원을 아꼈다.


한편 조달청은 지난 10월부터 두 달간 나라장터 이용 민간수요자들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펼쳐 최대 규모(1억7200만원)의 입찰을 한 대전 버드내아파트와 최다이용 풍년유통영농조합 등 7개 단체에 상을 줬다.


이현호 조달청 정보기획과장은 “나라장터 전자입찰이용이 내년엔 아파트단지 1만3480개 중 40%까지 늘 것”이라며 “개방대상 범위도 모든 비영리단체로 넓히고 전자입찰 외에 전자계약·대금지급서비스도 더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나라장터’란?
조달업체 등록, 입찰, 계약, 대금지급 등 모든 조달업무과정을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을 말한다. 2002년 10월 개통 후 4만7000여 공공기관들이 이용(조달업체등록 26만 곳)했다. 지난해의 경우 66조7000억원어치의 계약이 나라장터를 통해 이뤄졌다.
UN은 나라장터를 ‘전자조달 Best Practice Model’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기업에 대한 정보화 파급효과가 매우 크고 더 이상 개선이 필요 없는 수준’으로 평가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