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ISA-네이버-안랩, 악성코드 공동대응 나선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NAVER, 안랩이 날로 심각해가는 악성코드 확산 방지를 위해 공동대응에 나선다.


5일 3개사는 최근 인터넷 익스플로러(IE·Internet Explorer)의 취약점을 악용해 디도스(DDoS·분산 서비스 거부) 유발 및 계정 정보유출 등을 시도하는 악성코드가 확산됨에 따라 이용자 피해 방지를 위해 공동 대응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 악성코드는 지난 10월 발견된 IE 취약점을 악용한 것으로, 현재 마이크로소프트(MS)에서는 해당 취약점에 대한 보안 패치를 제공하고 있다.


만일 백신을 설치하지 않았거나 보안 업데이트를 하지 않은 PC 사용자가 늘어날 경우 급속한 감염 피해 확산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어 이를 사전차단하기 위해 공조에 나섰다고 밝혔다.

KISA는 악성코드에 감염된 PC가 인터넷에 접속 시 팝업 창을 통해 감염사실을 알리고 전용백신으로 치료할 것을 안내 중이며, 안랩도 전용백신을 개발해 보급하고 있다. 네이버는 메인 페이지에 IE 취약점 패치 권고 및 전용백신 검사 권고문을 게시하는 등 사용자 조치를 유도하여 사전 피해 방지에 나선다.


IE 사용자는 반드시 보안 업데이트를 실시하고, 그간 백신을 설치 않았거나 최근까지 백신 업데이트를 하지 않은 PC이용자는 반드시 전용백신을 다운받아 검사를 해봐야 한다. 백신이 이미 설치돼 있어도 악성코드의 복합적인 기능에 악용되지 않기 위해 전용백신으로 반드시 검사해보는 것이 더욱 안전하다.


안랩 관계자는 “기존 백신 업데이트 및 검사로는 해당 악성코드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어, 사용자는 반드시 전용 백신을 사용해서 삭제해야 한다”며 “또한 IE브라우저 사용자들은 MS에서 제공하는 보안패치를 반드시 적용하고, 브라우저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