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철도문화재 보존 위한 국립철도박물관 필요하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인터뷰] 이용상 우송대 철도경영학과 교수, “철도공사 등이 운영주체로 적극 나서야” 주장

“철도문화재 보존 위한 국립철도박물관 필요하다” '철도박물관' 건립을 주장하는 이용상 우송대 철도경영학과 교수가 근대문화재로 지정된 구둔역에 대한 설명하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전국에 흩어져있는 철도문화유산의 체계적 보존을 위해선 철도박물관 건립이 필요하다.”

국내 철도관련 연구자들 중 가장 활발한 활동을 펴고 있는 이용상(53) 우송대 철도경영학과 교수의 주장이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 철도문화재 문제는 철도역사 114년 역사를 반영하는 자료파악이 돼있지 않고 관리체계도 문화재청의 등록문화제도가 전부”라며 “위탁운영되고 있는 철도박물관으론 철도문화유산의 체계적 보존·관리를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선진외국은 철도박물관을 통해 철도문화재를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고 박물관 중심의 철도문화 보존활동도 펴고 있다는 설명이다.


일본은 전국에 100여개의 철도박물관과 자료실을 갖고 있으며 철도문화유산을 법과 제도적, 운영회사차원에서 활발하게 보존활동을 펴고 있다.


영국도 1920년대에 세계 최대의 요크박물관을 열고 법과 제도로 철도문화유산을 보존해오고 있다.


1994년 철도민영화 후엔 정부 안에 철도유산위원회를 둬 철도문화유산의 지정 등의 체계적 활동을 하고 있다.


중국도 2000년 이후에 베이징과 상하이철도박물관을 열고 철도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온라인상에서도 철도포털사이트를 통해 철도관련 문화유산보존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 교수는 “외국의 예를 들지 않아도 철도문화유산 관리가 매우 급하다”며 “철도를 운영하는 철도공사와 철도시설공단이 직접 나서야 한다. 아니면 지자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지자체는 철도유물을 레일바이크와 같은 ‘관광’에 활용하는 예가 많다. 이 교수는 “철도유물을 훼손할 수 있는 관광자원화보다 실제로 지켜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국립철도박물관을 지으면 무엇을 안에 넣느냐가 문제”라며 “흩어져 있는 유물들을 모으는 작업을 해야 한다. 2019년 철도 개통 120주년인데 이를 기념해 2020년에 개관목표로 유물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철도박물관은 외국처럼 철도정비창, 차량기지 등 철도시설 안에 입지하는 게 중요하다는 견해다.


이 교수는 “철도와 관련된 자리에 들어서야 당위성이 주어진다. 지자체의 유치노력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문화재청의 문화재지정만 기다리기보다 철도공사나 철도공단에서 철도유물관리기관을 둬야 한다”며 “문화재청과 협의하면서 보존·관리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한국철도문화재단을 만들어 전국 철도관련시설을 모으는 철도문화유산 자료화(DB)를 추진하고 있다.


이 교수는 “일본과 같은 철도기념물제도, 철도준기념물제도를 만들어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철도문화재단과 협력을 통한 문화재지정위원회 등을 공동으로 만들어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