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해외 IP확인요청 등 사칭 스미싱 '주의 요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돌잔치·청첩장 사칭에 이어 최근 해외 IP 확인요청을 도용한 스미싱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사용자 주의가 요망된다.


안랩(대표 김홍선)은 주민번호가 포함된 해외 IP 확인요청, 공공기관, 유명 외식업체, 통신사 등을 사칭한 스미싱 사례가 최근 급증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해외 IP확인요청 문자는 명의 도용방지 서비스를 사칭하며 사용자에게 접근한다. 해당 스미싱 문자에는 사용자의 이름·주민번호와 함께 ‘ooo.com(특정명의도용방지서비스 명)’ 링크가 포함돼 있다.


안랩 관계자는 "본인의 주민번호와 일치하는 문자를 받은 사용자는 의심 없이 URL을 클릭하기 쉬운데, URL 클릭 시 악성 앱이 설치되고 개인정보 유출 및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국민건강보험을 사칭한 ‘무료암검진 대상’ 문자도 발견됐다. 이 문자는 미리 유출된 사용자의 개인정보(이름, 전화번호, 연령대)와 허위 무료 암검진 내용을 조합하한 ‘복합형’ 스미싱 형태로 추정된다.


모바일 청첩장 형태의 스미싱도 진화됐다. 최근 나온 해당 스미싱 문자는 기존에는 없던 ‘자녀 결혼식’ 컨셉을 추가해 웨딩 사진첩 URL 클릭을 유도한다.


유명 외식업체를 사칭한 스미싱은 ‘[ooo(유명외식업체 명)]10/17 결제금액 125000원 완료·결제확인차단 u*s*e*a13.com’ 와 같이 주로 구체적인 기업명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착각하기 쉽다.


이밖에도 통신사를 사칭한 ‘요금 청구서 확인’, 공공기관 사칭 ‘무인단속 적발’ 스미싱 등이 발견됐다. 이 스미싱 문자의 공통점은 '돌잔치', 기존 '모바일 청첩장', '피자업체 등 패스트푸드 쿠폰문자'등에 익숙해진 사용자를 속이기 위해 더욱 다양한 기관·기업·단체 등을 활용한다는 점이다.


스미싱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SNS나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URL 실행 자제 하고, 모바일 백신으로 스마트폰을 주기적으로 검사해주는 것이 좋다. 만약 피해를 당했을 경우, 경찰서에서 ‘사건사실확인원’을 받아 통신사에 제출하면 보상 받을 수 있다.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