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규성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이 내년 1월19일까지 진행하는 '콩고강-중앙아프리카의 예술' 특별전은 왜 아프리카가 현대미술의 근원인 지를 알게 한다. 또한 아프리카 문화에 대한 편견, 낯설음과 생소함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전시실에 들어서면 처음 대면하는데도 아주 익숙한 느낌을 받게 하는 조각상, 가면이 여럿 있다. 우선 콩고강 유역 푸누족 가면이다. 가면에는 도톰한 입술, 아치형 눈썹, 상흔문신, 화려한 헤어 스타일이 아름답게 표현돼 있다. 푸누족 여인 가면은 마치 피카소(1881~1973)의 '아비뇽 처녀들'과 형상이 겹칠 수 있다. 팡족의 무표정한 수호자상이나 몸체에 칼날이나 못을 꽂고 있는 콩고족의 '은키시 은콘디'상은 모딜리아니의 그림속에 등장하는 얼굴 긴 여인들을 연상케 한다.
19세기말∼21세기 초 유럽 사회는 식민지 아프리카에서 밀려든 각종 가면과 조각상들로 문화적 충격에 빠졌다. 기이한 조형성, 신비스러우면서도 강렬한 이질감, 원시적인 표현기법, 신성스러운 듯 양식화된 묘사, 주술적인 마력은 파리의 젊은 화가들에게 커다란 영감을 불러 일으켰다. 피카소, 브라크, 마티스, 블라맹크, 드랭 등은 아프리카 미술의 파격적인 표현 방식을 작품에 구현했으며 이후 큐비즘 혹은 포비즘이라는 새로운 미학적 근원을 제공했다. 나아가 표현주의, 초현실주의, 추상주의에도 영향을 줬다. 따라서 아프리카 미술의 원초적, 주술적 생명력은 현대 미술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새로운 미술적 토대를 제공했다.
쿠엘레족의 둥근 뿔 달린 가면에서는 숲의 정령을 만나 듯 신비롭다. 벰베족 선조상은 신성한 힘의 중재자로 후손들을 보호할 것처럼 강렬하다. '음블루 음굴루'라고 불리는 코타족 유골함 수호자상은 나무 위에 구리나 활동으로 된 판을 덮어 장식했으며 사람의 몸과 얼굴을 추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팔은 마름모꼴로 형상화해 서양 미술의 양식화된 묘사를 대하는 듯 하다.
이번에 선보인 71점의 조각상, 가면 등 유물은 인류의 발원지인 '아프리카'가 오래전부터 화려한 문화를 꽃피우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오늘날 인류문화의 다양성과 지역성이 존중돼야 하는 지를 가르쳐 준다. 전시품은 모두 프랑스 케브랑리 박물관 소장품으로 유럽인들이 수집한 것이다. 수집된 시기는 19세기기 말∼20세기 초로 유럽의 현대미술이 융성한 시기에 집중됐다. 따라서 관람객들은 아프리카 문화를 프랑스의 컬렉션을 통해 바라봐야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프랑스에는 독창적인 컬렉션을 자랑하는 박물관이 많다. 그 중에서도 케브랑리 박물관은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의 유물과 문화재를 담아 놓은 곳으로 유명하다. 이는 케브랑리 박물관이 프랑스의 문화적 '실체'와 '진실'을 증명해줄 또 다른 공간이라는 의미일 수 있다. 그러나 케브랑리 컬렉션은 비운의 아프리카 예술이 현대미술에 크게 기여함으로써 인류 전체가 혜택을 입었다는 점에서 다소 불편함을 내려놓게 한다.
이번 전시는 콩고강 유역의 열대우림과 대초원에서 형성된 중앙아프라키 예술 세계를 '심장 모양 가면', '조상 숭배', '여인상' 등 세 가지 주제로 소개하고 있다. 각기 다른 주제는 콩고강 유역의 여러 부족 집단을 관통하는 문화적 연결고리다. 전시 유물에는 '둥근 뿔이 달린 가면', '최상위 계급을 상징하는 가면', 장례식 때 사용된 여성용 가면'으로부터 '코타족의 유골함 수호자상', '테케족 남성상', '루바족 왕을 떠받드는 여인과 걸상', '콩고족의 주술적 조각상', '의례용 도끼' 등이 포함돼 있다.
콩고강은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에서 발원해 적도를 따라 대륙의 심장을 관통하며 수많은 작품을 탄생킨 예술의 무대다. 콩고강 길이는 4700여km로 아프리카에서 나일강 다음으로 길며, 세계에서 수심이 가장 깊다. 콩고강 유역은 원래 수렵채집 사회였으나 약 3000년 전 서아프리카에 살았던 농경민인 반투족이 대거 이주함에 따라 농경사회로 바뀌었다. 수천 년 동안 콩고강 유역의 반투족들은 물길을 따라 강 주변의 숲과 초원으로 퍼져 풍부하고 다양한 문화를 생성, 공유하며 역사를 이어왔다.
'심장 모양 가면'은 반투족을 비롯한 여러 부족이 콩고강 전역에서 연결돼 있었음을 확인해 준다. 가면은 주로 나무나 상아 소재로 적도 주변의 열대우림에 거주하는 부족 집단에서 제작됐다. 표현 형식은 지극히 간결하고 단순하다. 심장 모양 가면은 다양한 신들과 정령을 상징한다. 가면을 쓰고 춤을 추는 행위는 단순한 유희가 아니라 부족 공동체의 통합과 악령 퇴치, 질병 치료와 교육 및 정의 실현을 의미한다.
'조상 숭배'는 중앙아프리카 사람들의 삶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문화 요소다. 중앙아프리카 사람들은 조상의 신비로운 힘과 권위가 자신들을 보살핀다고 믿어 왔다. 부족 공동체들은 선조의 뼈와 두개골을 유골함에 보관했고 유골함의 맨 위에 조각상을 두었다. 선조상은 흔히 정형화된 모습을 띠며 가족과 부족을 지키는 수호자를 상징한다.
'여인상'은 적도 이남 사바나의 문화에서 여성의 역할을 대변한다. 이 지역에서 여성은 통치자, 사제, 존경 받던 어머니, 명성이 높은 조상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적도 이남에 분포된 반투족은 모계 사회를 이뤘다. 여성은 조상과 앞으로 탄생할 세대를 연결하는 은유적인 존재로 표현돼 있다. 한편 이번 전시를 기획한 프랑수와 네이(Francois Neyt)의 강연이 내년 1월10일에 열릴 예정이다.
이규성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