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3국감]유해 물질 검출 인조 잔디, 내년 개보수 예산 '0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이규성 기자] 최근 기준치 이상의 납과 환경 호르몬이 검출된 인조 잔디 운동장의 개보수 지원 예산이 한 푼도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김상희 의원(민주당)이 '문화체육관광부 2014년 예산안'을 분석한 결과 지난 7월 '국민체육진흥기금 생활체육시설 설치 지원 사업'을 신청한 40곳의 인조 잔디 운동장 중 29곳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이 중 18곳(45%)이 기준치를 초과하며, 그 중 납 검출이 기준치의 98배가 넘는 학교도 나왔다.

이후 문체부는 2005년 이후 완공된 인조 잔디 운동장 100곳에 대해 자체적으로 조사해 본 결과 파일 14곳, 충진재(인조 잔디 밑에 까는 충격흡수재) 19곳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특히 일부 운동장에서 납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자 문체부는 지난 7월 매년 100개교씩 유해성 점검 및 개보수 지원을 실시, 유지관리 전문시스템 도입 및 안전관리 매뉴얼 보급, 유해성 점검 기준강화 등의 개선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그에 따라 내년 1차 예산안 심의에서 총 255억원 규모의 인조 잔디 운동장 성능개선 지원금을 신청, 무산된 데 이어 2차 심의 때 대폭 줄인 85억원을 신청해 이마저도 거부돼 내년 운동장 개보수 지원예산이 한 푼도 나오지 않게 됐다.

문체부는 2003년부터 총 1000여곳에 인조 잔디 설치를 지원해 왔다. 그 중 2013년 기준 설치 기한이 7년 이상 된 곳은 총 145개다. 인조 잔디의 내구연한이 7년 정도로 그 이상 사용하면 유해물질이 검출될 확률이 점점 높아진다. 따라서 해당 운동장은 개보수가 절실하다.


한편 김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조치계획까지 발표한 상황에서 그에 대한 예산을 한 푼도 배정하지 않은 것은 문제가 있다. 우리 아이들이 뛰어노는 운동장에 유해물질이 검출돼 국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제대로 된 예산을 반영하지 않는 것은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책임지겠다는 약속을 기만하는 것"이라며 "정부는 유해물질이 검출된 운동장 개보수 예산을 확보하고, 인조 잔디 개선 계획을 철저히 실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규성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