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3국감]자동차 리콜 1위는 'SM3·SM5'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2008년 이후 리콜 118만8천대…르노삼성 SM시리즈 27만8천대 최다

[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2008년부터 2013년까지 단일 사안으로 가장 많은 시정조치(리콜)를 받은 차는 르노삼성의 SM3와 SM5로 , 10대 리콜 순위 안에 SM 시리즈가 4건이나 올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문병호 의원(민주당, 부평갑)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8년부터 현재까지 총 118만8846대의 차량이 리콜 됐고, 이 중 국토부의 자동차 결함조사를 통해 제조사 책임으로 판명돼 리콜 된 차량은 전체 리콜차량의 24.01%에 불과한 28만5524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차종별로는 르노삼성의 SM 시리즈가 27만8117대가 리콜 돼, 전체 리콜 대수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다. 이어 현대자동차의 아반떼ㆍ싼타페ㆍ베라크루즈가 11만5326대로 2위를 차지했으며, 한국지엠의 윈스톰 시리즈가 11만2961대로 그 뒤를 이었다.


SM 시리즈의 리콜 사유는 '운전석 에어백 미작동, 주행 중 시동꺼짐 가능성 등'이었고, 아반떼ㆍ싼타페ㆍ베라크루즈는 '브레이크 스위치 접촉불량', 윈스톰 시리즈는 'ABS장치 부식으로 인한 브레이크 밀림현상 등' 때문이었다.

한편 국토부는 2008년부터 현재까지 총 126회의 자동차결함 조사를 진행했으며 이 중 제조사의 책임을 인정해 리콜 조치한 것은 22회(18.1%)에 불과했다. 또 조치 방식도 국토부의 '권고'에 따른 '자발적 리콜 형식'으로 처리 됐으며, 국토부가 강제 리콜명령을 내린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문병호 의원은 "국토부의 자동차 결함조사가 점차 증가하고 있긴 하지만 연평균 23건에 불과해 자동차 소비자의 불만과 불안감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며, "교통안전공단 등 공신력 있는 기관을 적극 활용해 소비자의 불만사항을 선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문 의원은 "소비자에 대한 권리구제가 미약하고 자동차 제조사가 '갑'의 위치에 있는 한국에서는 국토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국민의 입장에 서서 자동차 급발진, 리콜 등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