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민주당 국회 복귀…"국회서 쪽잠 자며 원내투쟁 임하겠다"

시계아이콘01분 4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전슬기 기자] 민주당이 강도 높은 원내투쟁을 선언했다. 민주당이 국회일정 협의에 나설 것으로 보여 국회가 문을 연 지 20여일 만에 정상화될 전망이다. 당 대표가 직접 전국을 순회하는 장외투쟁도 병행하기로 했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23일 의원총회에서 "원내 투쟁 강도를 높여야 한다"며 "원내 투쟁을 이끌 24시간 비상 국회 본부를 즉각 설치하고, 원내대표가 본부장을 맡아 원내 투쟁을 이끌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국회와 국감 일정 협의에 임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함으로써 국회에 복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민주당 의원들에게 "국정감사가 끝날 때까지 원외 투쟁을 지원하는 일 외에는 국회를 떠나지 말고, 잠도 국회에서 쪽잠 자면서 무섭게 공부하고 국정감사에 임하면서 원내 투쟁에 전념해 달라"고 요청했다.

민주당으로서는 그동안 경색국면 해결의 돌파구로 여겨졌던 3자회담이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한 채 무위로 돌아감에 따라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이 때문에 민주당은 3자회담 결렬 이후 11월 국정감사, 준(準)예산 편성 불사 등 강경대응을 예고했다. 하지만 민주당의 장외투쟁 전략에 대해 여론이 호의적이지 않았다. 여론조사업체인 리얼미터의 이택근 대표는 한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여론조사 응답자의 50% 이상이 장외투쟁을 중단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보였다고 밝히기도 했다.


앞서 김 대표는 전날 추석 민심 보고 간담회를 통해서도 이 같은 추석 민심을 확인했다. 추석 연휴 동안 바닥 민심을 확인한 의원들은 광장과 원내의 고강도 융합, 국회에서의 전략적 대응 등의 표현을 쓰며 당의 무게중심을 국회에 실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경제 상황이 좋지 않고 민생 현안이 산적한데 '정치투쟁'에만 골몰하고 있다는 지적이 부담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또한 민주당이 여론에 맞서 장외투쟁을 벌이기보다는 정치적 자산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국회가 유리하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다. 제1야당인 민주당은 16개 상임위 가운데 8개의 상임위에서 동수 또는 과반 이상 의석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옥상옥으로 불리는 법사위 위원장마저 민주당 의원이 차지하고 있다. 이 외에도 복지위, 산업통상위, 국토교통위, 농림위는 상임위 위원장을 민주당 의원이 맡고 있다.


이번에도 민주당은 원내외 병행투쟁 전략은 고수할 뜻을 밝혔다. 하지만 무게중심이 그동안은 장외에 있었다면 이제는 국회로 옮기겠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다뤄야 할 의제에 있어서도 민주당이 유리한 상황이다. 이미 여론의 비판을 받았던 세법개정안 문제와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기초노령연금 공약 축소, 국가정보원법 개정안 등 국회에서 다뤄볼 만한 이슈들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채동욱 검찰총장 사퇴 파문, 4대강 사업 등 현 정권과 대립각을 세울 수 있는 이슈들은 국회를 통해 다뤄보자는 전략으로 해석되는 지점이다. 김 대표는 "박 대통령의 공약은 어린이집부터 노인정까지 모든 공약이 거짓 공약임이 하나하나 확인되고 있다"며 "야무지게 지적하고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현 정부가 추진하는 핵심 주요 정책과제에 대해 검증의 칼날을 들이밀 것으로 보인다. 세법개정안, 주택시장안정화대책, 외국인투자촉진법, 4대강 사업 국정조사 실시, 철도산업발전법안, 한국사 교과서 논란, 통상임금 이슈,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공정거래법 등이 주요 전선이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주중에는 국회, 주말에는 광장으로 옮겨 다니며 원내외 병행투쟁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김 대표는 그동안 공언했던 것처럼 정기국회 개원 이후 광장의 무게중심이 떨어지지 않도록 노숙투쟁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달라진 점은 장외투쟁의 동력을 유지하기 위해 서울광장뿐 아니라 전국을 순방하면서 여론전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전슬기 기자 sgju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