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3자회담, '대타협' 추석 선물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박근혜 대통령과 황우여 새누리당, 김한길 민주통합당 대표가 16일 국회에서 만난다. 김 대표는 오늘 박 대통령이 어제 제안한 '국회 여야 3자 회담'을 수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가정보원 대선 개입 의혹을 둘러싼 여야 간 대치로 경색된 정국에 정상화의 돌파구가 마련된 셈이다. 반가운 일이다.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는 막힌 정국의 물꼬를 틀 수 있는 대타협안을 내놓기 바란다.


민주당은 어제까지만 해도 제안의 진정성이 의심된다며 수용 여부를 유보했었다. 하루 만에 수용하기로 결정한 것은 국민의 따가운 시선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장외 투쟁에 나선 지 벌써 40일이 넘었다. 민심은 국회로 돌아가라고 하고 있다. 또 그동안 회담을 제의한 터에 받지 않으면 자칫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계산도 했을 것이다. 저간의 사정이야 어쨌든 회담 수용은 적절한 선택이다.

김 대표가 회담의 최우선 의제로 '국정원 개혁 등 민주주의 회복 방안'을 강조했다. 3자회담 수용의 명분이다. 김 대표는 국정원 문제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박 대통령의 사과, 국정원 책임자 처벌 및 인적ㆍ제도적 청산 등을 요구했다. 민주당이 장외로 나간 이유를 떠올리면 당연한 주장으로 볼 수 있다.


국정원 문제는 중요한 현안이다. 박 대통령도 국정원의 개혁과 민주당의 주장에 분명한 의지와 태도를 보여야 한다. 하지만 여야가 몰두해야 할 과제는 국정원 문제만이 아니다.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들고, 전월세 가격을 안정시키는 등 민생 현안을 해결하는 것은 그 무엇보다 급하다. 하지만 정치는 실종되고 국회는 공전 중인 것이 현실이다. 민생관련 법안 심의는커녕 지난해 결산안 심사도 못한 상태다.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만남은 국회 정상화의 출발점이 돼야 한다. 국회가 할 일은 쌓여 있다. 민생을 보듬는 해법을 내놓고 정부가 내놓은 내년도 나라살림의 청사진을 꼼꼼히 따지고 엄격하게 손봐야 한다. 그러려면 여야의 소통과 공감대, 양보가 필요하다. 박 대통령은 야당을 국정 동반자로 인정해야 한다. 야당의 협조 없이는 경제와 민생 관련 법안, 새해 예산안 처리가 어려워진다. 민주당도 무리한 요구를 자제해야 한다. 3자회동이 정국 정상화의 물꼬를 터 좋은 추석 선물이 되기 바란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