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리점주들 "KT·LGU+ 횡포에 못살겠다" 성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이혜영 기자]참여연대를 비롯한 시민단체와 대리점주, 피해자모임 등이 국내 대표 통신사들을 향해 쓴소리를 내뱉고 있다. 경영진 사퇴와 함께 '갑'의 횡포를 중단하고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등 통신사에 대해 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한층 강해지는 모양새다.


12일 참여연대·KT새노조·KT을피해자모임과 LG유플러스피해자모임은 각각 두 통신사의 회장 사퇴와 불합리한 영업 관행 개선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참여연대·KT새노조·KT을피해자모임은 이석채 회장의 KT를 '낙하산을 위한, 낙하산에 의한, 낙하산이 기업'으로 지칭하며 "경영실적과 노동인권, 고객에 대한 책임, 대리점 등을 포함한 사회적 책임 모든 면에서 최악의 결과를 빚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 회장 취임 이후 사망한 노동자가 206명에 달하고 KT의 인력퇴출 프로그램 등으로 고통받고 있는 직원들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며 "강제할당과 밀어내기 등으로 대리점에 대한 횡포 역시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 취임 이후 4년간 KT의 주가는 9% 가량 하락했고 가입자 수도 감소하는 등 무선가입자 시장점유율도 30.3%로 내려가는 등 실적 면에서도 악순환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적은 하락하고 있지만 이사 보수(44%)와 임원진 급여(123%)는 인상하는 등 경영진에 대한 견제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도 꼬집으며 이석채 회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이들은 대리점협의회의 교섭에 회사가 응할 것과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 인력퇴출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사과 등도 함께 요구했다.


LG유플러스피해자모임(엘피모)도 협력업체와 계약직 직원들을 동원해 대리점을 개설하고 영업을 강제하는 방법으로 가입자를 유치하는 등 불법적인 관행에 대한 사과와 피해보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엘피모는 "LG유플러스가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유출하고, 불법 매집업체에게 본사지급 수수료 이상의 비용을 지불하고 가입자를 사오게 하는 행위로 점주들과 가족까지 파산에 이르게 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가입자증가와 분기별 순이익이 늘어난 것은 대리점주들의 역할이 컸다"면서 "과거를 잊은 기업에게 미래란 없다"고 성토했다.




이혜영 기자 itsm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