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수 3000시대 열겠다더니"…자본시장과 멀어지는 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1초

[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박근혜정부 출범 첫해 한국 자본시장은 뒷걸음질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는 정부의 무관심 속에 시장 선진화를 위한 경쟁력 제고는 고사하고 사상 최악의 경영난에 직면하고 있다.


12일 코스피는 지난 6월3일 이후 100여일 만에 2000선을 회복하면서 시장 '레벨 업'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속 빈 강정'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증권사 위탁거래 수수료 수입과 직결되는 거래대금은 정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박 대통령이 당선된 지난해 12월 '정권 교체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4조2202억원을 기록했던 코스피 일 평균 거래대금은 올 들어 6월 4조1047억원, 7월 3조6426억원, 8월 3조8259억원으로 증권사 손익분기점을 밑돌고 있다.


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렛대가 실종된 탓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주식시장 거래를 견인시킬 수 있는 파생시장 규제가 강화된 데다 펀드자금 유인을 도모할 수 있는 장기세제혜택펀드도 1년째 국회에 계류돼 있는 등 정부 및 정치권의 지원이 실종된 탓이다.

한 대형증권사 간부는 "보험권의 장기저축성보험 세제혜택 유지, 은행권의 원금보장형 주가연계증권(ELS) 발행, 투자일임업 등의 업무 허용 움직임 등이 금융투자업계 소외감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조태진 기자 tj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