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체크카드 활성화대책 2탄, 내달 드라이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 임직원 성과평가지표에 신용카드보다 높은 점수
- 은행ㆍ카드사 "무리한 발급, 실적 늘리기 의미 없어"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금융당국이 임직원의 성과평가지표(KPI) 중 체크카드 비중을 높이는 방안을 다음 달 내놓는다. KPI는 성과급, 인사고과 등에 영향을 미쳐 자연스럽게 체크카드 발급 장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의 계좌이용수수료 합리화, 체크카드 한도 상향, 결제 취소 시 빠른 환급 등의 방안도 함께 발표된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21일 전업계 카드사, 시중은행 카드 담당자 등을 여신금융협회에 불러모아 이 같은 방안이 담긴 '체크카드 활성화대책' 초안을 공개했다. 2011년 말부터 추진된 체크카드 활성화 대책보다 훨씬 강화된 대책이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카드사나 은행 임직원의 KPI에서 체크카드가 차지하는 비중을 늘리는 것이다. 은행의 경우 체크카드 한 장을 판매했을 때보다 신용카드를 판매했을 때 직원에게 주어지는 KPI가 더 높다. 이런 구조 때문에 직원들도 신용카드 판매에 열을 올리는 만큼, 구조 자체를 바꿔 직원들이 체크카드를 판매하도록 유도하라는 얘기다.

또 은행이나 각 카드사들이 연간 목표를 정할 때에도 신용카드 위주가 아닌, 체크카드 발급 장수 상향 목표를 세울 것을 독려했다. 시중은행들에는 전업카드사의 체크카드를 은행 창구를 통해 판매했을 때 받는 계좌이용수수료를 합리화할 것도 주문했다. 현재 시중은행은 지점에서 카드를 판매했을 때 카드사로부터 수수료를 받고 있다.


그러나 업계는 금융당국이 각 기업의 KPI까지 건드리는 것은 과도한 것 아니냐며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KPI를 조정하면 체크카드 발급 장수는 늘겠지만, 무리하게 발급 장수만 늘리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업계는 고객들의 통장에 체크카드로 결제할 잔액이 없는 구조, 체크카드 혜택이 신용카드보다 적은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입장을 당국에 전달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유독 금융권 중에서도 카드사에만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 같다"며 "마치 정부가 대기업에 싼 값의 특정 자동차만 많이 팔도록 유도하거나, 저가 전자제품만 팔도록 요구하는 것과 같은 논리"라고 말했다.


은행계 카드사들과 기업계 카드사(삼성ㆍ현대ㆍ롯데카드 등) 간의 묘한 신경전도 벌어지고 있다. 기업계 카드사들은 "수신 기반도 없고, 판매 창구도 없어 체크카드를 판매하는 것은 무리"라며 은행에서 좀 더 기업계 체크카드를 적극적으로 팔아 줄 것을 주문한 반면, 은행계 카드사들은 "기업계 카드사들이 차별화된 체크카드를 먼저 내놓으면 고객이 알아서 찾아온다"고 반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체크카드보다는 신용카드 판매에 중점을 두고 있는 업계 구조를 바꿔 자연스럽게 유도하자는 차원에서 이 같은 방안들이 나왔다"며 "업계의 목소리를 반영해 내달 중 활성화 방안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