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온라인대학 미네르바스쿨 “목표는 하버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분 43초

젊은 사업가 벤 넬슨 2500만$ 유치…2015년 첫 신입생 받아

온라인대학 미네르바스쿨 “목표는 하버드”
AD

[아시아경제 백우진 기자]“하버드는 세계 대학 중 가장 고가의 브랜드다. 우리 목표는 하버드 자리를 차지하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며 세계 최고 대학 자리에 도전장을 낸 인물은 미국 신흥 명문 대학의 총장이 아니다. 다른 선진국이나 중국에서 손꼽히는 대학의 총장도 아니다.

아직 1기 입학생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앞으로 설립할 대학을 세계 최고로 만들겠다고 장담하는 이는 벤 넬슨(38)이다. 넬슨은 교직에 몸담은 적도 없다. 그는 1999년에 온라인 사진 인쇄업체 스냅피시에 참여해 10여년 동안 경영한 벤처기업가 출신이다.


넬슨은 교육방식이 기존 대학과 전혀 다른 ‘미네르바 프로젝트’를 구상해 2011년에 회사를 설립하고 CEO를 맡았다. 미네르바 프로젝트는 온라인 강의를 기반으로 기존 대학교육의 군더더기를 모두 들어내 학비를 아이비리그 대학의 절반으로 낮추면서도 수익을 올리겠다는 내용이다.

넬슨은 이 구상을 제시해 지난해 벤치마크로부터 2500만 달러를 투자받았다. 벤치마크는 이베이와 트위터 등에 투자한 벤처캐피털 회사다.


미네르바 프로젝트가 기존 대학 시스템을 창조적으로 파괴하는 혁신이 될지, 아니면 현실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공상으로 판명이 날지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월스트리트저널을 비롯한 여러 매체가 잇따라 이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있다.


◆ 참신한 구상, 뜨거운 호응= 미네르바 대학은 2015년에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첫 신입생을 150명 정도 받을 계획이다. 넬슨은 캠퍼스를 마련하지 않고 소유 건물도 짓지 않고, 스포츠팀도 운영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정년이 보장된 교수진을 갖추는 대신, 교수들이 단기계약에 따라 온라인을 통해 강의하도록 할 계획이다.


모든 강의는 온라인으로 이뤄지지만 기존 온라인 교육과 달리 학생들은 4년 내내 기숙사 생활을 하면서 함께 공부한다. 기숙사와 온라인 강의실은 건물을 짓거나 사들이지 않고 임차해 마련한다. 미네르바대에는 도서관도 없고 학생회관도 없다. 공공도서관을 활용하고 커피숍에서 만나면 된다고 넬슨은 생각한다. 미네르바 프로젝트는 캠퍼스 부분에서 뉴욕대(NYU)를 어느 정도 모델로 삼았다.


넬슨은 앞으로 10~15년 동안 2년 마다 세계 주요 도시 1곳에 미네르바대를 세울 계획이다. 글로벌 네트워크가 갖춰지면 학생들은 졸업할 때까지 6개 도시에서 공부하게 된다. 넬슨은 “차세대 지도자를 육성하려면 세계의 많은 도시에서 생활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네르바대를 개교할 도시로 런던, 요하네스버그, 이스탄불, 텔아비브, 뭄바이, 상하이, 시드니, 상파울루 등을 예로 들었다. 개교 입지와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지혜의 여신 미네르바의 이름을 따온 데서 짐작할 수 있듯이, 미네르바대는 지식보다는 생각하는 법을 가르치는 데 중점을 둔다는 방침을 세웠다. 자유전공학부 중심 대학으로 운영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온라인강의는 일방향이 아니라 소규모 토론 중심 세미나로 진행되며 지적인 접근 및 방법을 계발하고 학습을 촉진하는 데 초점이 맞춰진다. 넬슨은 “기초적인 사실은 학생 스스로 무료로, 혹은 값싸게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공부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모든 학생은 첫 학년에는 전공과 무관하게 이론적 분석, 경험적 분석, 복합적인 시스템 분석,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등 4개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넬슨은 이런 과정이 “미국 교육에서 사라진 부분”이라고 말한다. 이 과정에 대한 평가는 졸업할 때까지 이뤄진다.


미네르바 프로젝트는 학계 유력 인사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미네르바 프로젝트는 쟁쟁한 면면으로 자문위원회를 구성했다. 래리 서머스 전 하버드대 총장이 넬슨의 생각에 적극적으로 동조하며 자문위원장을 맡았다. 패트릭 하커 델라웨어대 총장, 봅 케리 전 미국 상원의원, 리 슐만 스탠퍼드 교육대학원 석좌교수 등이 자문위원으로 참여했다.


초대 학장은 스티븐 코슬린 전 스탠퍼드대 행동과학고등연구센터장이 맡았다. 코슬린 학장은 “학습과 관련한 지식을 적용하면 교육이 달라진다”며 “고등교육의 기초를 바꿔야 한다”고 말한다.


코슬린 학장은 “미네르바 프로젝트의 명성은 탁월한 교수진을 갖추는 것과 졸업생이 얼마나 성취하느냐에 달렸다”고 말했다. 넬슨은 뛰어난 학생만 입학시키겠다고 말했다.


◆ 산 넘어 또 산 너머야= 하지만 캠퍼스가 없고 남들이 알아주지도 않는 신생 대학에 우수한 학생이 얼마나 지원할까? 아이비리그 학비가 연간 5만 달러 이상이 드는 데 비해 미네르바대는 절반 정도면 될 것이라고 넬슨은 말하지만, 그런 대학에서 공부하는 데 연간 2만 달러 넘게 지출할 학생은 충분하지 않을 거라는 우려가 나온다. 넬슨은 “하버드 등 명문대학은 자격을 갖춘 학생 중 일부만 받아들인다”며 “전세계 중산층이 미국 교육을 받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미국보다는 주로 해외 학생을 유치하겠다는 것이다.


뛰어난 학생이 입학하도록 하려면 출중한 교수진을 갖춰야 한다. 넬슨은 이 부분에 대해서도 쉽게 생각하는 듯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넬슨은 박사학위를 받고 아직 자리잡지 못했거나 은퇴했지만 이전처럼 가르칠 수 있는 교수들이 많다고 말한다. 교수 입장에서는 어디에 거주해도 무방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고 덧붙인다.


많은 부분이 채워지지 않은 신생 대학으로서 명성을 얻기 위해 넬슨은 미네르바상을 제정하기로 했다. 매년 특별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교수 1명을 선정해 50만 달러의 상금을 줄 예정이다.


미네르바대가 넘어야 할 제약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미네르바대 학생들은 정부가 지원하는 학자금 대출 프로그램의 혜택을 볼 수 없다. 또 대학을 세웠더라도 인가 받는 과정이 오래 걸린다. 미네르바는 인가를 받기 위해 클레어몬트의 케크대학원(KGI)을 파트너로 잡았다. KGI는 1997년에 설립됐고, LA 인근 대학 연합체인 클레어몬트 컨소시엄의 일원이다. 인가 문제를 쉽게 바꿨지만, KGI는 생명과학 분야에서만 석사 과정을 제공한다. 신생 대학이 KGI에서 얻을 게 별로 없다는 말이다. 또 KGI 역시 별로 알려지지 않아, 그 명성에 기댈 수도 없다.


◆ 과거 실패한 전철 피할까= 미국의 온라인 대학은 대부분 실패했다. 인터넷 거품이 끓어올랐던 1990년대에 마이클 밀켄과 래리 앨리슨이 투자한 1억2000만 달러로 유넥스트(UNext) 대학원 중심 대학이 1997년에 출범했다가 망했다. 콜롬비아대는 2000년에 온라인 학습 벤처 패섬(Fathom)을 창업했다가 수백만 달러의 손실을 보고 3년 뒤에 문을 닫았다.


과거 온라인 대학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한 뾰족한 복안을 넬슨은 아직 찾지 못한 듯하다. 그는 “등록금보다는 브랜드 기반으로 수익사업을 벌이겠다”고 말하지만, 뚜렷한 아이템은 제시하지 못했다.


넬슨은 펜실베이니아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대학이 사고력을 키워주는 걸 등한시한다고 생각해, 학생위원회 회장을 맡아 21살 때 프리셉토리얼(preceptorials)이라는, 아직도 인기가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냈다. 프리셉토리얼은 소규모로 단기에 진행되는 학점이 주어지지 않는 세미나다.


그는 대학을 졸업한 뒤 컨설팅회사 딘&컴퍼니에서 근무하면서 비로소 생각하는 법을 배웠다고 들려준다. “나는 내 일을 어떻게 점검해야 하는지 몰랐다. 프린스턴, 하버드, 예일 등 대학을 졸업한 입사동기들도 마찬가지였다.” 대학을 바꿔야 한다는 재학 시절 생각을 확인한 것이다.


그가 대학생 때 품은 대학 혁신의 구상이 현실에서 과연 뿌리를 내리고 대학 시스템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수 있을까?




백우진 기자 cobalt10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