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투자유망지 집중분석]남산과 한강 품은 뉴타운, 더딘 속도에 불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④한남뉴타운… 5개 구역 중 3곳 조합설립, 2구역 첫 시동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아직은 소액 물건 위주로 간간이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외부에서 투자 문의가 많은데 매수할 타이밍을 모르고 있다. 하지만 남산과 한강에 둘러싸인 위치적 특수성은 뛰어난 메리트로 꼽힌다."(2구역 인근 S공인 대표)


"2011년보다 가격이 15% 가량 떨어졌다. 추진이 다소 더디다보니 매수자보다는 매도자가 더 많다." (4구역 인근 공인중개업소)

[투자유망지 집중분석]남산과 한강 품은 뉴타운, 더딘 속도에 불안 구역 내 개발에 반대하는 주민과 찬성하는 주민간 이견이 첨예한 한남뉴타운 일대 /
AD

한남뉴타운은 남산과 한강사이, 이태원의 상권까지 갖춰 개발 초기부터 주목받았다. 1999년 '보광동 강변지구'를 시작으로 수차례 구역ㆍ계획 변경을 거듭했다. 구역별 면적이 넓은만큼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추진속도는 다소 더디다. 5개구역 중 3개 구역이 지난해 조합을 설립했다.


한남뉴타운은 반대 여론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역이다. 3일 찾은 보광동에서는 상가나 빌라에 꽂힌 붉은 깃발이 바람에 나부끼고 있었다. 주택가에서도 한집 건너 담장이나 옥상에 '뉴타운 결사 반대'라고 적어둔 붉은 깃발이 눈에 띄었다. 이태원역 일대가 발달된 것과 달리 한 블록만 들어가면 경사진 곳에 단독이나 연립주택들이 빼곡히 들어선 상태다.

1999년 주민들은 자체적으로 '보광동 강변지구' 재개발을 추진했다. 2003년 2차 뉴타운으로 지정됐을 때는 7개구역이었지만 2007년 재정비촉진구역계획으로 거듭나면서 5개 구역으로 조정됐다. 지형과 사업성을 감안해 몇 차례 구역변경을 거쳐 현재 안이 나왔지만 구역 면적이 넓고 반대 사유도 다양하다.


이태원동 C공인 대표는 "땅값은 내려가는데 건축비는 자꾸 오르니까 사람들이 그돈으로는 못하겠다고 반대한다"며 "이태원역 인근 상가 가진 사람들은 월세가 500만원씩 나오는데 그걸 포기하고 아파트에 입주하려고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99년에 처음 재개발한다고 했을 때만 해도 2000년에 이주완료한다더니 아직도 감감무소식"이라고 말했다.


한남뉴타운은 용산구 한남동ㆍ보광동ㆍ이태원동ㆍ서빙고ㆍ동빙고를 아우르고 총 면적은 111만㎡(약 33만6000평)규모다. 조합이 설립된 곳은 2·3·5구역으로 모두 2012년에 조합이 설립됐다. 공공관리제가 적용돼 정비업체, 설계업체를 선정하고 사업시행인가를 받은 이후에 시공사를 선정한다.


조합설립은 세 구역 중 가장 늦었지만 추진속도는 2구역이 가장 빠르다. 5개 구역 중 면적이나 조합원 수가 적어서다. 총 1928가구 중 조합원분이 1095가구(임대 328가구)이고 일반분양분이 505가구다. 2구역은 최근 다시 실태조사를 신청했는데 지난해말 조합설립 시 동의율이 78%에 달해 조합이 해산될 가능성은 적다고 평가하고 있다.


2구역 S공인 관계자는 "일반분양분이 많아 사업성이 높고 추진속도도 가장 빠르다"며 "조합이 해산되려면 50%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조합 설립 때 찬성률이 78%여서 해산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전했다. 또 "사업승인 결과는 이르면 연말, 늦어도 내년 4월 경에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머지 구역은 다소 더디다. 3구역은 용적률을 높여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5개 구역 중 면적이 가장 넓고 조합원수가 3782가구에 달한다. 소형주택 비율을 높이는 등 현 용적률 210%를 두 차례에 걸쳐 260%대로 높일 계획이다.


5구역 역시 사업성에 비해 속도가 늦다. 일대 중개업소에 따르면 이사진 내부 갈등이 심해 결국 이사진을 다시 선출했다. 총 1956가구 중 조합원 가구수가 1538가구, 임대는 403가구다.


4구역은 오는 9월 추진위원장을 재선출할 계획이다. 2010년 9월29일에 추진위원회가 승인됐지만 조합설립동의율(75%)을 충족시키지 못해 다시 선출해야한다. 인근 신동아아파트가 4구역에 포함돼 있는데 해당 주민들이 뉴타운에 반대하고 있다. 인근 공인중개업소에 따르면 한강과 인접한 위치여서 굳이 재개발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