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침수 후 환경질환 심각…"진단해 드립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3초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최근 폭우로 인한 침수피해에 이어 높은 습도에 따른 곰팡이, 병원성 세균 등의 번식이 위험 수위에 이르고 있다. 각종 환경성질환의 위협을 받고 있는 사회취약계층의 고충을 덜기 위한 서비스가 이뤄진다.


환경부(장관 윤성규)는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김삼권),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윤승준)과 함께 강원도와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 있는 취약가구를 대상으로 오는 9월30일까지 두 달 동안 '침수 피해가구 실내환경 진단·개선사업'을 실시한다.

이번 서비스는 측정전문가와 생활보건 컨설턴트가 침수피해를 입은 저소득층, 소년소녀가장 등 취약가구를 직접 방문해 실내환경을 점검하고 컨설팅 해주는 사업이다. 진단 뒤 문제가 있을 때는 벽지 교체 등 실내환경 개선을 지원한다.


최근 장마와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집중되고 있는 강원도와 서울, 경기지역이 중심이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천한 200가구에 대해 시행한다.


실내환경 진단항목은 곰팡이, 휘발성유기화합물, 폼알데하이드, 집먼지진드기,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등 6개 항목과 수인성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살모넬라균, 비브리오균, 이질균, 레지오넬라균, 대장균 등 병원성 세균 5종이다.


환경부의 한 관계자는 "곰팡이가 발생한 가구는 마른걸레에 식초를 묻혀 닦아내고 벽지에 곰팡이가 생긴 경우에는 물과 알코올을 4대1 비율로 섞어 눅눅한 벽에 뿌리면 좋다"며 "바닥먼지 청소 횟수를 늘리도록 하고 무엇보다 환기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세종=정종오 기자 ikoki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