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이번주는 경기·유동성·환율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미국·중국·일본(G3) 등의 이벤트가 즐비해있다. 다양한 대외 변수들이 국내증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 시나리오와 영향력을 잘 생각해 둘 필요가 있다는 평가다.
이번주 증시의 주요 변수는 중국의 올해 2·4분기 국내총생산(GDP) 발표,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회의, 일본 참의원 선거, 미국과 한국의 어닝시즌 등이다. 14일 시장 전문가들은 G3 이벤트가 단기 변동성 확대 요인 정도로 소멸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지난 주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시장 친화적 발언에 힘입어 회복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재만 동양증권 애널리스트= 이번주에는 중국(15일, 2분기 GDP 성장률 발표), 미국(17~18일, 버냉키 의장 의회 연설), 일본(21일, 참의원 선거)에서 중요한 이벤트들이 있을 예정이다. 경기, 유동성, 환율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벤트라는 점에서 예상 시나리오 및 경로를 생각하면서 국내 증시에 접근할 필요가 있는 국면이다. 해당 이슈들로 인해 기대감과 경계심리가 공존하며 국내 증시의 변동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중국의 2분기의 성장률은 예상치를 하회할 가능성 높다. 그렇다고 정부가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 부양책을 발표할 가능성 역시 낮다. 그러나 중국은 최근 유럽 체감경기가 개선되고 있다는 점과 기저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 등을 바탕으로 유럽 수출증가율이 8~9월부터는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 3분기 중 중국의 유럽 수출경기 회복이 가시화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중국 경기 우려는 경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버냉키 의장은 3차 양적완화(QE3) 축소 또는 연장 어느 한쪽을 강력하게 지지할 가능성이 낮다. QE 연장에 대한 기대감이 축소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한 방향(축소 또는 연장)으로 기울 가능성 역시 낮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기대감 축소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 위험 상승은 극히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한 코스피의 조정 폭도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오히려 하반기에는 시중 금리 상승 기대로 인한 미국 기업의 투자 증가라는 긍정적인 부문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셋째 일본 참의원 선거는 엔·달러환율과 원·달러환율의 변동성을 확대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는 국내증시에 부정적인 이슈다. 그러나 최근 일본 자민당의 지지율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이번 참의원 선거를 통해 아베노믹스에 대한 부정적인 목소리가 높아질 수도 있다. 한편 참의원 선거에서 아베 연립정부가 압승한다고 해도 과거와 같이 정책 이벤트 이후 엔화가 급격하게 약세로 진행됐던 상황이 재현될 가능성은 낮다. 정부와 중앙은행은 정책 효과를 기다리는 편에 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참의원 선거 이후 엔화약세 속도는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박중섭 대신증권 스트래티지스트= 버냉키 의장의 경기부양기조 유지 발언 이후 환율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 유로화 강세와 G20 재무장관 회담도 달러 강세를 저지할 것이다. 다만 중국의 경기둔화 우려, 실적시즌 개막은 불안요인이다.
본격적인 실적 시즌에 돌입했다는 점에서 실적 모멘텀이 가장 좋은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에 시장의 관심이 모아질 것으로 보인다. 1분기 발표치와 2분기 예상치를 기준으로 했을 때, 실적 모멘텀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IT와 자동차 업종이다. 특히 두 업종의 경우 실적 모멘텀에도 불구하고 최근 주가 조정으로 주가수익비율(P/E)이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 수준으로까지 하락했다. 또 1분기 대비 원·달러 환율이 상승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표적인 수출주인 두 업종의 경우 2분기 실적 발표치가 예상치를 충족할 가능성이 크다.
실적 추정치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높지 않다는 점에서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 수준의 주가순자산비율(P/B)도 시장의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적인 업종이 은행업종과 소재업종이다. 실적의 불안정성을 감안하더라도 두 업종의 경우는 기업가치 대비 낮은 수준의 주가를 기록하고 있어 저가 매수세의 유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송선재 하나대투증권애널리스트= 중국 정부에서 대기오염·교통체증·에너지절약 등의 이유로 신차에 대한 구매제한 조치를 확대할 수 있다고 한다. 구체적인 방법과 시기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기존 4개 도시(베이징·상하이·광저우·구이양)에서 시행 중인 제도를 8개 도시(텐진·선전·항저우·청두·스좌장·충칭·우한·칭다오)로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베이징은 추첨을 통해 월 2만명에게 구매권을 배정하고 있고, 상하이는 월 1만대를 경매로 판매하고 있는데 번호판 가격이 약 7만~8만위안(1300만~1400만원) 수준에 달하는 상황이다.
중국자동차제조협회(CAAM)는 제도가 시행될 경우 자동차 판매량의 2%에 해당하는 40만대가 감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제한조치의 확대가 중국 자동차수요에 부정적인 것은 사실이나, 현대·기아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다. 현대·기아차의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은 9.4% 수준인데, 중국 전체 수요감소 40만대 중 시장 점유율 비중대로 판매가 감소한다고 가정할 경우 현대·기아차에 미치는 영향은 약 3만8000대 수준이다. 이는 현대·기아차의 글로벌 소매판매 744만대의 약 0.5% 수준에 불과하다.
개별 브랜드에 미치는 수요감소가 시장 점유율 비중대로라고 가정하는 것도 보수적이다. 수요감소는 브랜드 로열티가 낮은 중국 로컬 브랜드에게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 2011년 베이징·상하이에서 동일한 규제가 시행되는 등 각종 규제조치와 역 기저효과로 수요 증가율이 크게 둔화됐을 때, 글로벌 브랜드는 판매가 10% 가량 증가했으나 로컬 브랜드는 16% 감소했다. 즉 현대·기아차의 판매 감소는 더 적을 수 있다.
현재 현대·기아차의 중국 내 판매는 상당히 호조인 상황이다. 과도한 우려가 만들어낸 주가 하락은 매수 기회다. 중국 신차구매 제한조치가 현대·기아차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며, 과도한 우려가 만들어낸 주가 하락은 하반기를 겨냥한 매수의 기회라고 본다.
김유리 기자 yr6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