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 보고서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금리가 1%포인트 오를수록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가운데 평균 16만3000가구가 잠재적 위험군에 새로 편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보유하는 부채 규모 역시 평균 19조9000억원씩 증가한다. 잠재적 위험군은 '원리금 상환액이 경상소득의 40%를 초과(DSR>40%)'하는 가구를 가리킨다.
특히 보유자산을 처분해도 원리금을 갚을 수 없는 '순자산 마이너스' 가구는 금리가 1%포인트씩 상승할 때마다 1만4300가구씩 늘어나 금융기관에 잠재적인 손실을 끼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9일 금융연구원이 발표한 '주택가격 하락 등 충격이 금융권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부채 보유 가구 가운데 'DSR이 40%를 초과하는' 잠재적 위험군은 현재 230만1000가구로 집계됐다. 1%포인트가 오르면 247만8000가구, 5%포인트 상승하면 311만5000가구로 확대된다.
이들의 금융부채 가운데 상당부분은 담보대출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금리가 1%포인트 늘어날 때마다 담보대출을 보유한 잠재적 위험가구가 14만3000가구, 대출규모는 17조원이 증가한다고 분석했다. 신용대출의 경우 각각 7만가구와 2조5000억원씩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됐다.
김영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잠재적 위험금융부채 증가분의 상당부분이 담보대출형태인 만큼 지급불능 상황이 발생해도 금융기관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문제는 순자산이 마이너스인 가구다. 보고서는 "금리 증가로 원리금 상환액이 많아지면 상환능력까지 위험해질 수 있다"면서 "직접적인 금융권 손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대출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경우 순자산 마이너스인 가구 가운데 평균 1만4300가구가 추가적으로 금융기관에 손실을 끼치며, 이들이 보유한 고위험 금융부채 규모는 1조100억원씩 증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구 중 고위험가구는 현재 20만9000가구지만 금리가 5%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28만가구에 달하게 된다.
이를 감안할 때 금융기관의 잠재적 손실 규모는 현재 12조2000억원이지만 5%포인트 오르면 15조6000억원으로 손실 역시 증가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김 연구위원은 "금리상승에 따른 위험군 가운데 악성부채 가능성이 큰 차입자가 있을 수 있다"면서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일권 기자 ig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