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朴대통령, 탕자쉬안 접견...北 움직일 방법 찾을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남북당국회담 무산 후 첫 일정

朴대통령, 탕자쉬안 접견...北 움직일 방법 찾을까 ▲ 박근혜 대통령(자료사진)
AD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교착상태에 빠진 남북관계를 전환시키기 위한 한국과 중국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27일로 예정된 한·중 정상회담이 어떤 '해법'을 도출할지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은 남북당국회담 무산 후 첫 일정으로 중국 유력 인사와의 접견을 잡았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방한 중인 중국의 탕자쉬안(唐家璇) 전 외교 담당 국무위원을 접견했다. 만남은 비공개로 진행됐지만 박 대통령과 탕 전 위원은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복귀시키는 문제, 한·중 정상회담 의제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두 사람은 한·중 정상회담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가운데 자연스레 남북관계, 북한 핵문제 등에 대한 이야기도 나눴을 것"이라며 "이 중 (남북당국회담 보이콧 등) 북한의 입장을 비판하는 내용이 공개된다면 어떤 식으로든 북한에 영향을 미치지 않겠느냐"라고 말했다.


탕 전 위원은 방한 첫날인 12일 한·중 친선협회 주최 만찬에서 "한·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박 대통령의 희망과 의견을 듣고자 한다"고 말해 중국 정부에 박 대통령의 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맡았음을 시사했다.

박 대통령은 남북당국회담 무산 후 당분간 남북 대화에 나설 의향이 없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대신 27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직접적인 대북 압박을 요구할 공산이 크다. 중국을 통해 본인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안정화하고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정영태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 정부가 상당히 전향적으로 북한과의 접촉에 임했다는 것을 중국도 이해할 것"이라며 "박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북한의 비상식적인 행태를 비판적으로 잘 설명한다면 중국이 이를 수용하고 북한의 대화 복귀를 견인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탕 전 위원은 현직은 아니지만 중국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로 꼽힌다. 외교부 관계자는 "탕 전 위원은 한·중 수교 이전부터 2008년 국무위원직을 마칠 때까지 대(對) 한반도 업무를 주관했다"며 "지금도 중국국제관계학회 회장을 맡으며 중국 외교업무에 관여하는 등 중국 내에서 비중 있는 역할을 하고 있어 이번에 박 대통령과의 만남이 성사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탕 전 위원은 대일 외교에도 잔뼈가 굵다는 것이 외교가의 평가다.


박 대통령과의 인연도 각별해 이번 만남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지난 2001년, 2005년, 2008년 세 차례 중국을 방문해 탕 전 위원을 만나 한반도 문제를 상의한 바 있다. 박 대통령과 탕 전 위원은 스스럼없이 농담을 주고 받을 정도로 친밀한 사이인 것으로 전해졌다. 14일 접견도 종료시간을 정해놓지 않은 채 진행, 허심탄회한 대화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일각에서는 우리 정부가 한·중 정상회담만을 바라봐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정성장 위원은 "물론 한·중 정상회담이 남북대화 재개에 약간의 동력을 제공할 수는 있겠지만 당장 시급한 것은 개성공단 문제"라며 "남북당국회담이 조금 미뤄진다 하더라도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실무회담은 박 대통령이 방중 이전에라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오종탁 기자 tak@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