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창조금융 토론회]이정수 금투협 본부장 "창조금융 위해 인프라, 자본시장법 보완 필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아시아경제 김소연 기자]이정수 금융투자협회 증권서비스본부장은 창조금융 활성화를 위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이 육성돼야 한다며 인프라 구축, 자본시장법 보완 등을 주장했다.


이 본부장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자본시장법 개정과 창조금융 활성화 방안' 토론회에서 "창조기업 투자는 정보비대칭과 고위험, 고수익이라는 특성이 있다"며 "따라서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이를 담당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평가를 담당할 핵심 인프라 구축 ▲엔젤, 벤처캐피탈, IB(기업금융)간 유기적 협력체계 ▲자본시장법 보완 등이 선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봤다.


이 본부장은 "창조금융을 위해서는 아이디어, 지적재산권 등 각종 기술의 사업화 가능성이나 적정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인프라가 꼭 필요하다"며 "그러나 민간부문에서 기술평가사업이나 기술거래가 활성화되려면 비용 발생, 노하우 축적 등으로 시일이 소요되기 때문에 그 전까지 정책금융기관과 공공부문이 이를 담당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또 창조기업들의 자금 조달이 원만히 이뤄질 수 있도록 엔젤투자가, 벤처캐피탈, IB간 유기적인 협력체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짚었다. 현재 자금 생태계는 초기 엔젤투자자에서 벤처캐피탈(VC)로 옮겨갔다가 이후 기업공개(IPO)하는 수순으로 흘러가고 있다.


그는 "창조금융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는 자금 생태계 핵심 참여자인 엔젤투자자, VC, IB 간 지속적이고 유기적인 협력체계가 필요하다"며 "특히 중개자로서 IB의 기능이 활성화돼야 하고 M&A(인수합병)나 세컨더리 펀드(Secondary fund) 조성이 필수"라고 진단했다.


특히 VC들이 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이용하는 장외시장의 조직화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본부장은 "현재 VC들의 자금 회수 형태를 보면 IPO는 16%, M&A는 4%, 장외매각은 50% 이상 비중을 차지한다"며 "앞으로 이중 상당수가 코넥스 시장으로 옮겨가게 되겠지만 여전히 20% 정도는 장외시장을 통해 자금을 회수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장외시장을 조직화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자본시장법에 대해서도 보완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본부장은 "창조기업의 자금조달 활성화를 위해서는 증권형 크라우드 펀딩제도가 도입돼야 한다"며 "공시 역시 기업 자금조달 규모나 투자자 투자한도에 따라 부담을 완화해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앞으로 발행이 금지될 분리형 신주인수권부사채(BW)의 발행을 허용하거나 독립워런트와 일반사채의 동시 발행을 용인하는 방식의 법 개정을 제안했다. 금융당국에서 우려하고 있는 대주주의 권한남용을 방지하면서도 중소, 중견기업의 자금조달을 원활히 하기 위한 중간점을 찾자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편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은 자금이 필요한 수요자가 발행한 증권을 투자자가 매입해 참여하고, 배당금 등 수익을 받는 방식이다.




김소연 기자 nicks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