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 "주변국과 대화"…6자회담 내달 재개되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미중·한중 정상회담 이후 예상

北 "주변국과 대화"…6자회담 내달 재개되나 ▲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오른쪽)과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이 2012년 4월 15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김일성 주석 생일기념 열병식에 참석해 함께 웃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중국 측에 국제사회와 대화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면서 6자회담 재개 가능성이 높아졌다. 내달 미·중, 한·중 정상회담 이후 6자회담까지 성사되면 한반도 긴장 국면은 급속히 풀릴 전망이다.

김 제1위원장의 특사로 중국을 방문 중인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은 23일 류윈산(劉云山)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만나 "중국의 건의를 받아들여 (한반도 문제) 관련국들과 대화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류윈산 상무위원이 "6자회담을 통한 당사자들의 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한 데 따른 답변 형식으로 나왔다.


중국발 소식을 접한 우리 정부 관계자는 "중국이 6자회담 테이블에 북한을 끌어들이며 한반도 정세변화를 주도하려 하고 있다"며 "정치·경제적 고립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북한으로서는 중국의 제안을 거부할 수 없을 것으로 본다"고 분석했다.

정영태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앞서 핵실험, 미사일 발사 등으로 무력시위를 한 북한이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관철시키려면 다자 간 협상의 틀에 들어가야만 한다"며 "이런 측면에서 6자회담 재개는 사실 북한이 내심 바라왔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 위원은 "6자회담의 핵심은 미·북 접촉"이라며 "다른 회담국들은 양국이 대화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6자회담이 성사된다면 그 시기는 내달 7∼8일 미·중 정상회담과 하순께 열릴 한·중 정상회담 이후가 유력하다. 다만 북한이 아무 조건 없이 곧바로 6자회담장에 나타나진 않을 것으로 외교가에서는 추측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은 비핵화가 목적인 6자회담에 나서지 않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에 이를 번복하려면 뭔가 명분이 필요할 것"이라며 "한·미 양국에 전제 조건을 제시하는 등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정 위원은 "과거에는 북한이 국제사회와의 대화에 있어 '갑' 행세를 했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다"며 "아쉬운 쪽인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진정성 있는 모습을 보여야 6자회담이 성사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22일 베이징에 도착한 최룡해 총정치국장은 아직까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 주석은 21일부터 쓰촨(四川)성 루산(盧山) 지역에서 지진 피해복구 현황을 둘러보고 23일 오후 베이징으로 돌아왔다. 최 총정치국장이 북한으로 복귀하는 24일까지 시 주석과 만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중국이 북한의 그간 독불장군 행태에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는 풀이가 나온다.




오종탁 기자 tak@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