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토 면적 10년 만에 여의도 202배 늘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우리 국토 면적이 10년 전에 비해 여의도의 202.4배 만큼 늘어났다. 도로 및 법인 소유 토지는 증가한 반면, 농지와 개인 소유 토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토지정책 수립과 행정업무 활용에 필수 자료인 ‘2013년 지적통계연보를 8일 발간했다.

전 국토의 면적은 지난해 발표한 10만148㎢(2011년 말 기준)에서 여의도면적의 14배로 40㎢ 증가한 10만188㎢(2012년 말 기준)로 집계됐다. 이는 10년전 국토에 비해 여의도의 202.4배인 587㎢ 증가한 것이다.

올해 국토면적 증가의 주된 요인은 농업용지 확보를 위한 간척지 신규등록(11.1㎢)이 가장 컸다. 인천국제공항 확장사업(8.1㎢)이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공유수면 매립, 미등록 토지등록, 토지대장 복구 등에 의한 공부등록이 이뤄졌다.


17개 시·도 중 국토의 19%(1만9028.8㎢)인 경북이 가장 넓었으며, 가장 작은 곳은 세종특별자치시로 국토의 0.5%인 464.8㎢를 차지했다.

전국 시·군·구 중 가장 넓은 지역은 강원도 홍천군(1819.7㎢), 인제군(1620.4㎢), 경상북도 안동시(1521.9㎢) 순이며 가장 작은 지역은 부산광역시 중구(2.8㎢)로 확인됐다.


국토면적과 소유구분에 대한 증감추이를 분석한 그 결과 도로와 법인소유 토지는 증가하고 농지와 개인 토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지 및 도로는 30년간 국토이용·개발정책에 따른 고속도로 확충·신도시개발 등의 이유로 도로가 112.7%(1577㎢), 대지 64.2%(1105㎢)로 증가했다.


이에 비해 농지 및 임야는 30년간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농지 11.8%(-2614㎢), 임야 3%(-1912㎢)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지의 경우 전국 시·도 중 경기도가 가장 많이 감소(-880㎢) 했으며, 경상남도 (-620㎢), 경상북도(-562㎢) 순으로 나타났다.


소유현황으로 구분한 국토는 민유지 52.6%, 국유지 24.5%, 공유지 7.7%로 확인됐으며, 지난 5년간 국유지(3.4%) 및 공유지(4.3%)는 감소했고 법인소유 토지는 10.7% 증가했다.


증가한 법인소유 토지를 지목별로 확인하면 임야 187㎢, 농지 152㎢, 공장용지 및 대지가 129㎢ 증가했다. 1990년대 이래 지속적인 산업단지 개발이 공장용지, 대지 등의 사업용 토지 증가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분석됐다.


국토부는 누구나 지적통계연보를 활용 가능하도록 수도권 및 지방 공공기관, 도서관, 학교, 언론사 등 900여 기관에 배포하고 더 자세한 내용은 국토부(www.molit.go.kr)의 통계정보, 통계청 e-나라지표에서 확인 가능하다고 말했다.




박소연 기자 mus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