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이영규 기자]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이 야심차게 도입한 '스마트워크'와 '교원 행정업무 줄여주기' 사업이 당초 계획만큼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따른 시행착오로 풀이된다.
경기도청은 지난해 스마트워크 도입이후 밤 8시30분이면 불이 꺼진다. 이에 따라 직원들은 할 일이 있어도 반 강제로 퇴근해야 한다. 유연근무제 역시 과나 팀내 직원들의 출퇴근 시간이 달라 시간을 낭비하는 사례가 많다.
같은 건물내 부서끼리 화상회의를 진행하는 촌극도 빚어진다. 이러다보니 일부에서는 스마트워크가 '전시행정'으로 흐르면서 혈세만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그런가하면 도교육청이 교원(선생) 본연의 업무 강화를 위해 도입한 '교원 행정업무부담 줄여주기' 사업도 실적위주로 진행돼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경기도청 '스마트워크'의 허상
수원 효원로1가 경기도청은 밤 8시30분이 되면 불이 일제히 꺼진다. 지난해 도입한 '스마트워크'에 따른 조치다. 이러다 보니 일부 직원들은 처리할 잔업이 남았는데도 일거리를 집으로 가져가거나, 스탠드를 켜고 밤샘 근무를 한다.
유연근무제 역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유연근무제는 말 그대로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가져가는 제도. 문제는 출퇴근 시간이 자유로워지면서 과나 팀 운영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과장이나 팀장은 오전 8시에 출근하는데, 직원들은 오전 10시에 나오다 보니 얼굴을 맞대고 일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든다. 반대의 상황도 연출되고 있다.
이러다보니 '제대로 된 근무가 될까'라는 지적도 나온다. 도 북부청사에 근무하는 정 모 공보신문팀장은 금요일이면 수원 도청사 스마트센터에서 업무를 본다. 집이 수원이다 보니 한결 출근부담이 없어 자주 이용한다.
하지만 정 팀장의 경우 북부청 출입 언론을 총괄 담당하기 때문에 스마트워크를 하기엔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많다. 현지에서 언론을 챙겨야 할 업무특성 때문이다.
화상회의가 도입되면서 웃지 못할 해프닝도 연출되고 있다. 도청내 A국은 최근 화상회의를 개최했다. 화상회의는 물리적으로 거리가 먼 경우 주로 진행된다. 하지만 이날 화상회의는 바로 밑에 층에 있는 타 국과 진행됐다.
도 관계자는 "스마트워크는 공직자들의 근무환경 변화를 통해 업무의 효율성을 최대한 끌어올리자는 취지로 도입됐다"며 "일부 시행초기라서 문제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도교육청 '교원 행정업무경감' 잘되나?
도교육청은 교원들의 행정업무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올해부터 행정실무사를 증원 배치했다. 그러나 일선 학교에서는 각종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일례로 교육과정 등 주요 계획서는 담당교사가 직접 내용을 기획하고 기안해야 한다. 하지만 도교육청이 내려보낸 교원 행정업무 부담 지침을 보면 교육내용 기획은 교원이 하고, 기안은 교원들의 행정업무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행정실무사가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다보니 일부 학교에서는 담당교사가 기획안을 마련, 시스템에 입력한 뒤 나중에 '담당자 변경' 프로그램을 통해 기안하는 일이 빚어지고 있다.
더욱이 일부 지역교육청은 '공문처리율'을 토대로 매긴 학교별로 순위를 일선 학교에 전달하면서 또 다른 서열화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선학교 관계자는 "(도교육청이나 교육지원청에서) 교원들의 행정업무 부담감소와 행정실무사의 역할을 강조하는 공문을 자주 내려 보내다보니 실적에 부담을 느낀 일선 학교에서 편법으로 운용실적을 발표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도내 행정실무사는 3월말 기준 8166명으로 각 학교당 3.57명이 배치돼 있다. 이들은 교원들을 대신해 교무, 과학실험, 일반행정, 전산보조 등 모두 5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영규 기자 fortun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