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개발시대의 쇠퇴.. 건축물 공급 줄어든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8초

올 1분기 건축허가 최근 3년새 첫 감소··전년 대비 11.1%↓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3년간 지속됐던 1분기 건축허가면적 증가세가 올 들어 추세 전환했다. 전년 대비 11.1% 감소실적을 나타냈다. 특히 지방(-14.7%)이 수도권(-5.7%)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정부가 시장침체 속에 공급위주의 주택정책 대신 관리를 더욱 강조하고 나섬에 따라 공급주체들의 활력이 떨어지는 모습이다. 소비여력과 경제성장률이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경우 건축물 공급부진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13년 1분기 건축허가 면적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1분기보다 11.1% 감소한 2609만8000㎡(4만5283동)이며, 착공면적은 1.7% 증가한 2300만7000㎡(3만6158동)이라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허가 면적이 1103만7000㎡로 5.7% 감소하고, 착공 면적은 949만6000㎡로 28.5% 증가했다. 지방의 허가·착공 면적은 1506만1000㎡, 1351만1000㎡로 각각 14.7%, 11.4% 감소했다.


건축허가 면적의 경우 주거용 940만㎡(-15.7%), 상업용 750만㎡(-1.3%), 공업용이 352만7000㎡(-5.7%)로 모두 감소했고, 문교·사회용은 227만6000㎡로 전년과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 전체적인 허가 면적은 감소했으나, 아파트는 수도권과 지방에서 각각 24.6%, 13.2% 증가했다.


착공 면적은 주거용이 853만3000㎡(-5.9%)로 소폭 감소했고, 상업용 5,1만7000㎡(7.1%), 공업용 323만4000㎡(11.6%), 문교·사회용은 179만4000㎡(17.9%)로 모두 증가했다.


준공 면적은 주거용 872만5000㎡(-1.4%), 상업용 566만3000㎡(-6.0%), 공업용 629만2000㎡(-0.1%), 문교·사회용이 284만8000㎡(-23.8%)로 모두 감소했다.


1분기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전년 동기대비 허가 면적은 2010년 41.6%, 2011년 9.8%, 2012년 5.5% 등 3년 연속 증가했으나, 2013년 1분기는 11.1% 감소했다. 특히 지방(-14.7%)이 수도권(-5.7%)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 전체적인 허가 면적은 감소했으나, 아파트는 수도권과 지방이 각각 24.6%, 13.2% 증가했다. 주거용 건축물의 건축허가 면적 감소를 세부용도별로 살펴보면 연립주택(-45.0%), 다가구주택(-38.6%), 다세대주택(-28.8%), 단독주택(-3.9%) 순으로 나타났다.


오피스텔의 허가·착공 면적은 감소했으나, 준공면적은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수도권의 준공면적이 18만2000㎡로 전년대비 289% 증가했고, 지방은 6만㎡로 56% 증가해 수도권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3.3%인 1만9608동, 100~200㎡ 건축물이 9305동(20.5%), 300~500㎡ 건축물이 6051동(13.4%) 순으로 나타났다.


건축물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1만5664동으로 전체의 43.3%를 차지했고, 100~200㎡ 건축물 7031동(19.4%), 300~500㎡ 건축물 5159동(14.3%) 순이었다.


멸실 현황을 용도별로 보면 주거용과 상업용이 각각 96만1000㎡(8041동), 56만6000㎡(2094동) 멸실됐고, 공업용과 문교·사회용이 각각 34만1000㎡(328동), 10만9000㎡(126동) 멸실됐다.


주거용 건축물의 멸실 현황을 살펴보면 아파트, 연립주택이 전년대비 각각 78.9%, 27.1% 감소한 반면, 다세대는 375.6% 증가했다. 공업용, 문교·사회용의 멸실현황은 수도권에서 각각 47.0%, 58.3% 감소했으나, 지방은 36.8%, 5.7% 증가했다.


이들 통계에 대한 세부자료 및 현황비교자료는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 및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 (http://www.eais.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다.




박소연 기자 mus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