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내 손 안의 주식 투자 'MTS' 가 대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아시아경제 진희정 기자] "외부 출장을 갔을 때 아주 급하게 종목 거래를 해야 할 상황이 있었는데 그때 MTS(Mobile Trading System)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이용한 적이 있었다."


온라인 거래 HTS(Home Trading System)가 투자자들로 붐비던 거래소의 풍경을 바꿔 놓았듯이 모바일 거래 MTS가 변화의 바람을 몰고 오고 있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MTS를 통한 주식거래대금 비중은 8.17%로 2009년의 1.38%에 비해 5.9배나 증가했다. 반면 HTS를 통한 거래대금 비중은 31.44%로 2009년의 47.72%에서 급감했다. 컴퓨터 앞에 앉아 HTS로 거래하던 투자자들이 스마트폰을 통한 손쉬운 거래를 택한 것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스마트폰을 통한 주식 거래가 보편화되면서 증권사들이 MTS경쟁을 벌이고 있다"면서 "보다 편리하고 빠른 주식 거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MTS 시장 선점을 위해 증권사들은 수수료 무료 행사나 경품 행사 등을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키움증권의 MTS 점유율은 28%, 그 뒤를 미래에셋증권이 20%로 뒤따르고 있다. 이어 삼성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각각 6%, 하나대투증권과 동양증권 등이 5%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키움증권이 2010년 9월 출시한 '영웅문S'는 단순 주문 프로그램 형태로 앱이 아닌 게임 앱을 내놓으면서 차별화 전략을 펼쳤다. 업계 최초로 ▲HTS와 관심 종목 연계 ▲수량과 가격을 미리 설정하고 한 번의 터치로 주문할 수 있는 쾌속주문 ▲자동시세 재접속 기능 ▲제한된 스마트폰 화면에서 투자정보를 한눈에 보여줄 수 있는 슬라이드 메뉴 기능 등을 통해 투자자들을 끌어들였다.


MTS시장 2위인 미래에셋증권은 2010년 2월 업계 최초로 MTS인 'M-stock'을 출시했고, 1년 반 만에 월 거래대금이 7조원을 돌파했다. 여기에 최근에는 업그레이드 된 앱을 선보였다. 새로운 챠트분석 기능과 특화주문, 시세포착 및 서버자동주문 등 트레이딩시스템 고유 기능을 대폭 강화해 HTS수준 이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는 것.


한국투자증권은 기존 앱을 개선한 'New eFriend Smart(이프렌드 스마트)'를 출시했다. 이프렌드 스마트에서는 빠른 종목 검색을 지원하는 다양한 메뉴가 있다. 최근 관심 종목을 바로 주문할 수 있고 주식의 현재 가격에서 즉시 주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양증권의 주식거래 앱 'MY SMART W'는 자동주문 기능이 특징이다. 특정 종목에 대해 고객이 계좌·종목·시세 등 조건들을 지정하면 그 조건이 충족될 때 해당 종목을 미리 정한 수량만큼 주문한다. 일반·호가분할 등 주문 방식도 미리 고를 수 있다.




진희정 기자 hj_j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