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년 지난 일을…한수원 '벙어리 냉가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원자력발전소 위조부품 사건이 자꾸 이슈화되는 것은 우리나라 원전 산업에 도움 될 것이 없습니다."


두어달 전 만난 전력 업계 고위 임원은 이 같이 토로했다. "지난해 한국수력원자력에서 발생한 원전 위조부품 비리 사건에 대한 해외 파트너사들의 눈초리가 예사롭지 않다"는 이유였다.

그는 "수치스러울 정도의 후진국형 비리 스캔들이 터진 것은 맞지만 미래를 생각한다면 하루빨리 조직을 재정비를 하고 해외에서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리나라 원전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데 동일한 사건이 재차 거론되는 것은 국격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그의 견해였다.


이 고위 임원의 발언이 지난주 머리를 스쳤다. 한수원의 입장에서는 "이미 알려진 내용이 또 다시 이슈화된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난 11일 부산지검 동부지청 형사3부(김욱준 부장검사)는 고리 원전 납품 비리와 관련해 신모 전 고리 원전 과장과 임모 과장, 납품 업체 대표 등 13명을 구속 또는 불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의 혐의 사실도 상세하게 발표했다.


같은 날 저녁 7시께 한수원은 짤막한 설명 자료를 배포했다. 부산지검 동부지청이 발표한 수사 결과에 대해 언론의 참고를 요하는 내용이었다.


한수원은 자료에 "감사원에서 지난해 4월2일부터 6월26일까지 위기관리실태 감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지난해 12월5일 검찰청에 수사를 요청하고 12월6일자로 전 언론을 통해 이미 보도됐던 내용"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이번 발표 내용은 감사원 조사의 후속 조치로 검찰에서 관련자 사법 처리를 위해 수사 결과를 종합 발표한 것으로, 새로운 사실이 아니며 과거의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이미 과거에 언론에 공개가 된 내용'이니 추가 보도를 자제해 달라는 요청인 셈이다. 한수원은 "이 사건과 관련해 한수원에서 이미 해당 직원과 업체에 대해 해임과 정직, 등록취소 등으로 엄정하게 처벌을 완료했던 사안"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원전 업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한수원의 원전 납품 비리 이슈가 1년여 지난 시점에서 생각해 볼 대목이 많다.




김혜원 기자 kimhy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