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용인시 경전철 '유령역사' 우려속 720억 복지센터 '논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용인=이영규 기자]경기도 용인시가 오는 26일 개통되는 용인경전철 역사 내 편의시설 설치관련 협약을 마무리짓지 않아 당분간 경전철 이용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이번에는 용인시가 719억 원을 들여 오는 2016년까지 지하 2층, 지상4층 규모의 종합복지센터 건립을 추진해 논란이다. 인구 3만5000명을 위해 짓는 이 복지센터는 인구 115만 명의 수원시청보다 크다. 용인시는 현재 6850억 원의 부채를 안고 있으며, 올해 2066억 원을 상환해야 할 처지다.

◆'용인경전철' 유령역사 되나?…시민 편익은 안중에 없어


오는 26일 개통하는 용인경전철은 당분간 편의시설이 없는 상태에서 운행될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 12월 새로운 투자자로 영입한 칸서스자산운용㈜, 사업시행사인 용인경전철㈜ 그리고 용인시 사이에 진행되고 있는 재무구조화협약이 아직까지 마무리되지 않고 있어서다.

이로 인해 부대시설 설치 문제가 매듭을 짓지 못해 용인경전철 15개 역사 내 임대점포, 자판기, 광고판 영업이 불가능하게 됐다.


용인시 관계자는 "부대시설 수익금을 용인시 수입으로 잡기로 했지만 향후 운영 수입규모를 측정할 수 없어 당분간 계약을 하지 않기로 했다"며 "승객이 많으면 수입도 많아지기 때문에 개통 후 계약을 해도 늦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부대시설이 없는 상태에서 경전철을 운행할 경우 불편은 고스란히 승객 몫으로 돌아간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용인경전철은 '구갈역∼에버랜드역' 18.1㎞ 구간에 총 1조32억 원이 투입됐다.


하지만 민자사업 시행사에게 지급할 최소수입보장 비율 등을 놓고 법정다툼이 벌어지면서 개통이 3년 가까이 미뤄졌다. 용인경전철은 올해 1월17일 시범운행에 들어갔으며 이달 26일 정식 개통한다. 한편, 용인시는 사업시행사와의 국제중재법원 소송에서 패소해 모두 7786억 원(이자포함 8500여억 원)을 물어줘야 할 처지에 놓였다.


◆3만5천명 복지센터가 115만 수원시청보다 '커'


용인시는 2016년 3월 완공 목표로 719억 원을 들여 기흥구 보정동 1264일대 1만5683㎡에 지하 2층, 지상 4층, 연면적 2만5970㎡ 규모의 보정종합복지센터를 건립한다.


용인시는 최근 조달청에 308억 원 상당의 건축, 토목 공사 계약체결을 의뢰했다. 5∼6월께 본공사 착수가 가능할 것으로 용인시는 보고 있다. 당초 복지센터 건립은 청사가 없어 '더부살이'하는 보정동 주민센터 일환으로 추진됐다. 그러나 난개발이 이뤄진 경부고속도로 주변 보정동에 각종 문화시설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시설이 추가됐다.


이에 따라 ▲노인복지관(연면적 6548㎡) ▲청소년문화의집(1261㎡) ▲시립어린이집(85명 수용) ▲수영장ㆍ다목적 체육관(4976㎡) 등이 포함됐다. 보정복지센터는 인구 115만 명의 수원시 청사(2만1334㎡)보다 큰 규모다. 또 전국 주민자치센터 중 가장 크다. 주민센터 이용주민은 보정동 등 3만5000여 명으로 추산된다.


용인시 관계자는 "지난 2008년 계획 당시보다 사업비를 200억 원 가량 줄인 것이고 최근 재정난을 감안해 다각적인 논의가 있었지만 주민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건립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말 기준 용인시 부채는 6850억 원으로 올해 경전철 사업에 따른 지방채 1591억 원을 포함해 모두 2066억 원을 상환해야 한다.




이영규 기자 fortun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