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창조' 농업, 농산물 유통구조 바꾼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5초

농식품부, 22일 청와대 업무보고
가공·관광과 결합 '6차 산업화'추진
도매 물류센터 건립·직거래 확대


[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창조경제가 농식품산업에도 적용된다.
이동필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22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국정과제 실천계획으로 농식품 산업에 창조경제를 접목하겠다는 내용을 보고했다. 창조경제는 박 대통령이 취임전부터 꾸준히 강조해온 경제 정책 기조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내놓은 새정부 로드맵에도 첫째 국정목표로 올라있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농업의 6차 산업화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1·2·3차 산업에 머무르지 않고, 농업 생산(1차)을 유통·가공(2차), 체험·관광(3차)과 결합해 6차 산업화 한다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17곳 특화농공단지를 올해 22곳으로 확대하고, 향토산업 직접화 및 농공상 융합·가공·컨설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5월까지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6월에는 '6차 산업 활성화 대책'을 수립한다는 계획도 함께 내놓았다. 이어 12월까지 '농촌산업 지원 특별법'을 제정해 6차산업을 활성화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이 장관은 20일 임명후 첫 번째 현장 방문 일정으로 경기도 김포의 김포인삼쌀맥주 생산·판매 현장을 찾았다. 인삼과 쌀 등 지역 특산품을 이용해 가공식품을 만들고, 체험산업으로 연계시킨 현장이었다. 박 대통령이 공무원은 '현장 지킴이'라고 말하면서 현장중심의 행정을 강조한 만큼 업무보고에서 앞서 6차 산업 현장을 방문한 것이다.

'창조' 농업, 농산물 유통구조 바꾼다 ▲6차 산업화 사례 (자료 : 농림수산식품부)
AD


농식품부는 농식품 산업의 창조경제 접목을 위한 다른 과제로 농식품 산업에 정보기술(IT)·생명공학기술(BT)을 접목,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또 연구·개발(R&D) 효율화를 통해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을 지난해 기준 75%에서 2017년까지 82%로 끌어올리겠다고 했다. 농식품 모태펀드를 만들어 자금을 조달한다는 계획도 수립했다. 농식품 대기업과 정부·지자체가 함께 중소 농식품경영체에 투자하는 100억원 규모의 '농식품상생펀드'도 시범적으로 추진키로 보고했다.


이어진 보고에서도 박 대통령 맞춤형 내용이 이어졌다. 140개 국정과제 가운데 61번째였던 '농축수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농협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했다. 산지에서는 정부와 농협의 협력을 통해 전속출하조직을 지난해 1600개에서 2016년 2200개까지 육성하고, 도매단계에서는 5대 권역별 도매 물류센터를 건립해 물류체계를 완비할 계획이다. 소비지에서는 전국에 2070여개에 이르는 지역조합의 하나로마트를 체인화 시켜 판매를 확대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이를 통해 생산자는 5% 이상 가격을 더 받고 소비자는 10% 이상 값을 덜 내는 구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60번째 국정과제인 '농어가 소득 증대'를 위해서는 쌀 직불금을 헥타르(ha)당 70만원에서 올해 80만원으로 인상하고, 2017년까지 100만원까지 상향조정하겠다고 했다. 또 복지농촌 건설을 위해서는 마을단위 생활 인프라와 읍·면 중심의 보육시설 등을 확충키로 했다. '농업인 안전재해보장법'도 만들어 고령자에 대한 농지연금을 확대하고, 다문화 가족의 농촌 정착 지원도 강화한다고 보고했다.


불량식품을 없애고 안전한 농축산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다음달 중 총리실, 관련기관과 상설협의체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식품안전사고에 공동 대응하는 매뉴얼도 작성할 방침이다. 또 식약처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9월까지 '식품종합정보망'을 구축하는 방안도 내놓았다.




세종=이윤재 기자 gal-r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