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민·관·군 합동 北사이버테러 대비태세 유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1초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 국제연합(UN)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 이후 북한의 무력도발 협박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는 민·관·군 합동 사이버위협 합동대응팀을 중심으로 사이버테러에 대한 경계수위를 높이고 있다.


12일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정부는 북한의 3차 핵실험 직후인 지난달 12일 ‘사이버위기 평가회의’를 열어 사이버위기 경보단계를 ‘정상’에서 ‘관심’으로 높이고 주요기반시설에 대한 특별 점검에 나섰다. 이외에 해킹이나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 등 국가정보통신망에 대한 침해행위 발생 여부를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정부는 또 사이버테러에 대비해 민·관·군의 신속한 협력체계를 재점검하고, 테러 발생시 공격주체를 신속히 규명하여 공개한다는 방침 아래 국제협력 채널을 긴밀히 가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정부는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자신의 PC가 DDoS나 해킹 공격을 유발하는 좀비PC가 되지 않도록 출처가 불확실한 이메일 등을 열람하지 말고 백신 프로그램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등 주의해 달라”면서 이상징후가 발견될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신고전화 국번없이 118) 등 관련 기관에 즉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정홍원 국무총리는 이달 9일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를 방문해 “북한의 사이버테러 가능성에 유념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대응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김영식 기자 gr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