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非朴-민주, '개헌 연대' 가동?…朴 당선인 '어찌할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이재오·박지원 등 '개헌추진 의원모임' 구성…2월 회기 내 개헌특위 구성 요구키로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19대 국회에서 헌법 개정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다. 여야 의원들은 18일 '개헌(改憲)'을 중심으로 한 자리에 모여 2월 중 국회 개헌추진특별위원회 구성 등을 요구키로 했다. 취임을 엿새 앞두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재오 의원을 중심으로 한 새누리당 의원 21명과 민주당 소속 의원 45명은 이날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개헌추진 의원모임' 오찬간담회를 열어 개헌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한 뒤 이 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이들은 19대 국회에서 100인 이상의 동의를 받아 개헌안 발의를 검토키로 했다.

모임을 주도한 이 의원은 "지난 대선 과정에서 여야 후보들이 개헌을 하겠다고 했으니 여야 의원들이 틀을 갖추고 이야기하는 게 좋겠다고 여겼다"며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19대 국회에서 개헌 의지가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박지원 전 민주당 원내대표도 "개헌을 통해 정치를 쇄신하는 것이 진정한 혁신"이라며 "국회 내에 특별위원회를 구성해서 전 국민과 함께 해 나간다면 국정의 발목을 잡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본격적인 개헌 논의가 시작됐다고 해석하기엔 이르다. 새누리당 내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친박계 의원들이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서다. 이날 모임에 참석한 새누리당 의원들 대부분은 이른바 비박계로 분류되는 인사들이었다. 이 같은 점을 의식한 듯 문병호 민주당 의원은 "여당 의원들이 박 당선인에게 개헌의 필요성에 대해 잘 설득해달라"며 "개헌에 대한 확실한 추진력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당선인은 일단 개헌에 대해 '신중 모드'를 유지하고 있다. 새 정부 출범과 민생정책 등 주요 국정현안 처리가 시급한 상황에서 개헌이라는 거대담론이 부각될 경우 자칫 새 정부 동력이 떨어질 수 있는 우려 때문이다. 친박계 의원들 상당수도 박 당선인의 입장 정리를 기다리며 쉽게 나서지 않는 상황이다.


공은 박 당선인에게 넘어갔다.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4년 중임제 개헌 추진을 발표했지만 개헌에 앞장서기는 부담스러운 눈치다. 다만 박기춘 민주당 원내대표가 지난 7일 개헌특위 구성을 제안한 데 새누리당 일부 의원들까지 개헌 논의 착수를 요구하면서 마냥 침묵할 수 없어서다. 박 당선인의 입장 정리에 따라 '87년 헌법 체제'의 수명이 좌우될 것이란 분석이다.




이민우 기자 mwle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