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르포]'비정상 부동산시장' 어떻길래.. 수도권 신도시 "아우성.."

시계아이콘01분 4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현장 직접 찾아보니 "서울서도 문의전화, 전세대란 재연 조짐"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과 함께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 내정자가 나란히 부동산시장에 대해 '비정상적'이라는 표현을 쓰며 활성화 대책을 예고하고 있다. 매매거래가 급격히 줄었다는 것은 통계상으로도 금세 알 수 있지만 현장에 나가보면 보다 피부적으로 느낄 수 있다. 수도권 주요 현장에서는 매매수요는 거의 실종되다시피 했고, 전세를 찾은 수요만 늘어나며 전세금 앙등을 부르고 있다. 시장에 일정한 시그널을 줄 때 더이상의 왜곡을 막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부동산시장의 극심한 침체가 인테리어와 이사업계 등 연관산업에도 큰 영향을 주며 내수침체를 부른다. 곳곳의 부동산 시장 현황을 살펴본다. <편집자주>

[르포]'비정상 부동산시장' 어떻길래.. 수도권 신도시 "아우성.." ▲전세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는 김포한강신도시 아파트 전경.
AD

[아시아경제 진희정 기자]"계약 만료 시기가 되면서 전세값이 많이 오른 상태다. 물건이 나오는대로 계약이 이뤄지기 때문에 융자가 많은 전세를 제외하고는 구하기 힘들다."(광교신도시 이의동 대림공인중개업소)
"송도에 입주하는 물량이 적어 전세가 귀하다. 전세가도 초기보다 3000만원 정도 올랐지만 물건이 없어 구하기 힘들다. 매매가는 분양가보다 500만원 정도 떨어진 상태다. 취득세 감면 연장의 영향이 송도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송도신도시 송도동 법원공인중개업소)


설 연휴가 끝나자마자 봄 이사철과 맞물리면서 수도권 전세난 조짐이 일고 있다. 매매시장 침체와 함께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밀려난 '전세난민'이 급증한 때문이다. 경기도 양주시 A공인중개업소에는 최근 전셋집을 구하는 문의 전화가 하루 5통 이상씩 꾸준히 걸려온다. 절반가량은 서울에서 걸려온 전화. 중개업소 관계자는 "서울 노원구, 도봉구 등 30평대 아파트 전세금이 최소 2억원이 넘는데 여기는 1억2000만~1억3000만원 수준"이라며 "전철로 서울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데다 조만간 도로개통을 앞두고 있어 신혼부부들이 많이 찾고 있다"고 전했다.

강남권과 인접해 있는 수원 광교신도시와 강서ㆍ여의도와 접한 김포 한강신도시도 상황은 비슷하다. 김포의 행복한집찾기 중개업소 대표는 "서울을 오가는 버스가 다양해서 여의도ㆍ강서, 강남에 회사를 둔 세입자가 늘고 있다"며 "취득세 연장에도 불구하고 매매보다는 전세거래가 꾸준하다"고 말했다.


지난달부터 서울지역 전셋값이 매주 0.01∼0.03% 오르고 있어 본격적인 이사철을 앞두고 시장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다. 전국 전세가격은 2011년 12% 급등했다가 지난해 2%로 다소 진정됐지만 올해는 상반기 아파트 신규 입주물량 감소로 다시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부동산정보업체에 따르면 상반기 전국에서 도래하는 전세 재계약 물량은 68만8863건으로 하반기 63만2379건보다 5만건 가량 많은 점도 세입자들에게 불리한 소식이다.


이렇다보니 일부에선 이참에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려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달 전용면적 59㎡ 아파트를 기준으로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할 때 드는 추가비용은 수도권 8432만원, 지방 3052만원에 불과했다. 2년 뒤 또다시 수천만원의 전세값을 올려줘야 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내집 마련의 추가비용이 그리 크지 않은 셈이다. 동탄1기신도시 반송동 미소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동탄2신도시 분양 물량 등으로 전세가와 매매가 모두 내려간 상태"라며 "급매 같은 경우 시세보다 2000만~3000만원 정도 낮게 구할 수 있어 매매로 전환하는 세입자들도 찾을 수 있다"고 귀띔했다.


하지만 매수심리 호전이 반짝효과에 그칠 수 있다는 신중한 분석도 만만찮다. 취득세 감면안이 한시적으로 시행됐던 지난해 10월에서 12월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량은 5300여 건을 넘었지만 감면안 종료 직후인 지난달 거래량은 고작 1170건에 불과했다. 지난해 1월 거래량 역시 1625건에 그치며 취득세 감면안 막달이었던 2011년 12월 5800건에 비해 크게 못미쳤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팀장은 " 향후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가 있어야만 매매로 전환하는 수요가 발생할 수 있는데 요즘같은 시장에서는 사실상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가격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새정부의 적극적인 부동산 살리기 정책 뒷받침돼야만 얼어붙은 주택시장을 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진희정 기자 hj_j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