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치킨전문점 절반, 3년도 못 버틴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치킨전문점 절반, 3년도 못 버틴다
AD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치킨전문점 창업자 4명 중 3명은 10년 내에 휴·폐업 상태에 이르고, 절반은 3년도 못 버티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지난 10년간의 KB국민카드 가맹점을 대상으로 개인사업자 정보를 분석해 내놓은 '국내 치킨 비즈니스 현황 분석'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치킨전문점은 매년 7400개가 새롭게 열리고 5000개가 퇴출됐다.


같은 기간 치킨전문점의 평균 생존기간은 2.7년으로, 절반 이상이 창업 후 3년 이내에 문을 닫았다. 이는 전체 개인사업자 평균 생존기간인 3.4년보다 낮은 수준이며, 음식점업의 생존기간인 3.2년보다도 낮았다.

이처럼 치킨전문점 영업이 어려워 진 것은, 창업이 크게 늘어 경쟁강도는 커졌지만 업체당 매출액은 둔화됐기 때문이다.


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치킨시장 규모는 지난 10년간 3300억원에서 3조1000억원으로 9배 증가해 2011년 기준 3만6000개가 영업 중이다.


그러나 치킨전문점 반경 1 ㎢ 내 3055명의 인구가 거주하던 10년 전과 달리, 현재는 절반 수준인 1414명으로 줄어들며 경쟁강도는 커졌다.


이에 따라 치킨전문점 개인사업주의 연소득은 2011년 기준 2500만원으로, 창업 전에 비해 평균적으로 900만원 이상의 소득이 줄어들고 있다. 연구소는 "예비창업자들은 창업 전에 구체적인 자금조달 계획 및 손익분기점 계산을 먼저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서울에서 가장 치킨전문점 수가 많은 지역은 송파구 375개로, 각 동 단위로는 29개의 치킨전문점이 영업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쟁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인구 1만명당 치킨전문점 수'를 서울시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중구(10.5개), 종로구(8.7개)에 많은 점포가 분포했으며, 강북구(5.1개), 양천구(5.1개), 용산구(5.2개)는 상대적으로 경쟁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의 경우 점포수는 6.0개로 서울 평균 수준이었으나 치킨점 연간 매출액에서는 1위를 기록해 여전히 고객기반이 강한 지역으로 분석됐다.


유정완 KB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경쟁강도 심화로 국내 치킨시장의 생존확률은 이미 낮은 수준이지만, 치킨메뉴에 대한 안정적이고 폭넓은 수요를 기반으로 닭강정, 불닭, 오븐에 구운 닭과 같이 틈새시장을 노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웰빙, 다양, 소량, 복합화 등 최근 추세를 감안한 독자적인 경쟁력 확보화 고유한 아이템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