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케아, 아직 서류도 못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글로벌 가구공룡 국내 진출, 커지는 반대 목소리

이케아, 아직 서류도 못냈다
AD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글로벌 가구공룡 이케아의 국내 진출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지역 소상공인과 가구업체들의 반발에 이어 지역 시의회까지 강경한 반대의사를 표명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건축 인ㆍ허가를 받을 예정이었지만 아직 심의서류조차 제출하지 못했다.


5일 광명시의회에 따르면 이달 중순께 임시회의를 열고 이케아 진출이 중소상인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광명시가 충분히 검토했는지 점검할 예정이다. 광명시의회는 지난해 12월 광명시가 이케아의 진출 영향력을 도출해내기 전까지 진출 관련업무를 금지토록 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결의안을 대표 발의한 문현수 진보정의당 의원은 "의회의 목표는 이케아가 광명시에 아예 진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라며 "이케아는 가구뿐만이 아니라 거의 모든 생필품을 파는 대형업체로, 진출시 재래시장과 소상공인들이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개장을 눈앞에 두고 있는 코스트코의 경우 지역 상인들과의 상생안을 내놓았으나 이케아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어 진출시 파장이 더 클수밖에 없다는 것. 문 의원은 "결의안은 법적 효력은 없지만 의회의 의지를 나타내 준다"며 "만약 시가 의회의 의지를 무시하고 강행한다면 더욱 강경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의회가 이처럼 '타도 이케아'에 나선 것은 소상공인의 골목상권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케아는 가구업체로 잘 알려져 있지만 사실상 매출의 70% 가량은 생활용품에서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7월 광명ㆍ안양ㆍ의왕ㆍ군포 등 4개 지역 18개 상인단체가 이케아 입점 저지를 위한 궐기대회를 열기도 했다.


이같은 반발에 이케아의 진출일정은 안갯속에 빠졌다. 2012년 광명시 시정설명회 자료에 따르면 광명시는 지난해 10월 건축ㆍ인허가를 받아 올해 4월 착공, 내년 상반기 매장을 개점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케아는 아직 인허가를 위한 심의서류조차 제출하지 못한 상태다. 광명시 관계자는 "이케아가 이달 초순 중에 건축 심의 신청을 할 예정"이라며 "5월~6월 초에는 인허가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경우 개점 시기는 2014년 하반기께가 될 예정이다. 하지만 시의회의 반대가 완강한데다 새 정부가 소상공인 위주의 정책을 펴고 있어 설립 시기가 더욱 늦어질 가능성도 적지 않다.


가구업계는 '시간을 벌었다'며 안도하는 분위기지만 기대가 크지는 않다. 가구업계 관계자는 "인허가를 받은 후 빠르면 8개월만에 준공을 마칠 수 있다"며 "다소 늦을 수는 있지만 여전히 내년 중 개점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광명시 소상공인업계 관계자도 "이케아 유치가 현 시장의 주요 치적인 만큼 주민 반대를 무릅쓰고 강행할 수 있다"고 가능성을 열어놨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