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동반위, 새 정부서도 필요"…유장희 위원장의 '확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동반위, 새 정부서도 필요"…유장희 위원장의 '확신' 유장희 동반위원장.
AD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박근혜 당선인이 당선되자마자 중소기업을 방문하고 중소기업의 "손톱 밑 가시를 빼 주겠다"고 말도 했잖아요. 그렇게 봤을 때 동반성장위원회 같은 기구가 (새 정부에서도) 필수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유장희 동반성장위원장은 1일 본지와 통화에서 이같이 밝히며 새 정부에서도 동반위의 역할이 지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동반위 존치 여부에 대해 박 당선인으로부터) 어떤 신호가 온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지만 새 정부의 정책 방향성과 동반위의 정체성은 일치한다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 동반위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다수를 이룬다.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동반성장이라는 정체성은 새 정부와 맞아 떨어지지만 이명박(MB) 정부 때 만들어진 기관인 만큼 거취가 불분명하다는 것. 박 당선인이 '위원회가 너무 많다'며 MB정부 때 만들어진 위원회를 정리하겠다는 의사를 표한 것도 이같은 우려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에 대해 유 위원장은 "민간기구인 만큼 동반위는 정부와 직접적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최근 논란이 되는 외식업 적합업종 지정과 관련해서는 여전히 논의할 여지가 남아 있다는 입장이다. 그는 "외식업 적합업종 지정과 관련해 아직 매듭을 짓지 못한 부분이 남아 있다"며 "계속 결론이 나지 않으면 발표 직전까지 협의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동반위는 오는 5일 외식업, 제과업 등 22개 서비스업종에 대한 적합업종 발표를 앞두고 있다. 특히 지난 30일 실무회의에서 대기업 외식업종에 대해 신규 브랜드 출시를 제한하는 방안이 나오면서 업계의 거센 반발에 직면하고 있다. 유 위원장은 "아직 확정된 사안이 아닌데 너무 성급하다"며 "외식업종 관련 협상을 다시 한 번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협상이 안 되면 위원회 안건에 복수안으로 올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과업종의 경우 30일 논의를 마지막으로 최종 협의안을 마련했다. 동네 빵집에서 500m이내 프랜차이즈 빵집 출점을 금지하고, 성장률은 2%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변이 없는 한 동반위는 오는 5일 제과업종을 적합업종으로 선정하고 제과업계와 대형 빵집 프랜차이즈에 이같은 중재안을 제시할 방침이다. 유 위원장은 "제빵업종의 경우 30일 협의가 마지막"이라면서도 "그날 결과를 봐야 한다"며 말을 아꼈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