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火電사업자, 주가 등 자사 이익 위해 언론플레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지경부 "제6차 전력수급계획 사업자 선정 아직 확정 안 돼" 강조
"주가 등 자사 이익 위해 언론플레이 하고 있어" 강력 경고


[아시아경제 김종일 기자] 정부가 제6차 전력수급계획 사업자 선정과 관련해 아직 사업자를 선정한 바 없다고 공식해명했다.

지식경제부는 20일 오후 보도자료를 통해 "현재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발전사업자 선정 절차는 진행 중에 있다"며 "특정사업자가 사업권을 획득했다는 기사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지경부는 "수급계획에 반영될 사업자는 평가와 이의신청·재심절차를 거쳐 설비계획소위원회, 수급분과위원회, 전력정책심의회 등의 심의가 끝나야 확정될 수 있으므로 2월초에나 발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지경부는 또 "발전설비용량도 사업자 선정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아직 확정할 단계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지경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일부 보도가 나간 이후 "해당 사업자들이 확정되지도 않은 안을 갖고 언론플레이를 하고 있다"며 "주가가 연동돼 있어 이런 행동을 하고 있다고 보고 있어 강력하게 경고할 것"이라고 불쾌한 심경을 드러냈다.


이날 일부 언론은 정부가 2020년까지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를 이용한 화력발전 공급용량을 1580만㎾ 확충한다는 제6차 전력수급계획의 내용을 보도했다.


또 일부 매체들은 제6차 전력수급계획에서 최대 격전지로 떠오른 삼척화력발전소 사업자로 동양그룹과 동부그룹이 공동선정돼 200만㎾씩 나눠 추진한다고 보도했다. 또 다른 언론은 동양이 삼척화력발전, 동부와 삼성물산은 강릉화력발전소의 사업자로 선정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6차 전력수급계획에 포함될 예정인 신규 발전사업에는 총 29개 사업자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총 사업비 10조원 가량이 소요되는 최대 격전지역인 강원도 삼척에는 포스코에너지, 동양파워, 동부발전삼척, 삼성물산, STX에너지 등 5개 민간 대기업이 화력 발전사업 신청서를 내고 대격돌을 벌였다.


하지만 국내의 유명 재벌기업들이 경합을 벌이는 와중에 지난해 삼척 시의회가 STX에너지와 삼성물산에 대해서만 사업 신청 동의를 하지 않아 지역민들이 시의회를 상대로 항의시위를 벌이는 등 불공정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특히 로비의혹설과 지역업체 밀어주기 등 특혜 의혹이 불거져 사업자 선정 후에도 후폭풍이 거셀 것으로 예상돼 지역사회가 양분될 것이라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김종일 기자 livew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