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떠나는 글로벌 기업들
이미 중국에 들어와 있던 외국기업들이 중국을 떠나는 사례가 최근 몇 년 사이 부쩍 증가하고 있다. 올해 들어 중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 건수와 사용금액이 8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연간 기준 FDI가 전년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건수와 금액이 모두 줄어든 것은 아시아 금융위기 직후인 1999년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듬해인 2009년 이후 처음이다. 하지만 유로존 위기가 국제적인 투자흐름에 지난 1998년과 2008년의 금융위기와 비슷한 영향을 준다면 대(對)중국 투자 둔화는 단기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중국에서 철수한 외국기업들의 유형을 살펴보면 우선 중국 정부 규제나 통제로 인해 중국 시장에서 수익을 내지 못하거나 사업을 계속할 의지를 잃게 된 경우를 들 수 있다. 미국 전력회사 AES가 대표적이다. 이 회사는 지난 4월 중국 비즈니스에서 적자 누적을 이유로 중국 시장 철수를 선언하고 5월에 화력발전소 1곳과 풍력발전소 3곳의 지분을 매각했다.
AES는 중국이 전력 부족에 시달리던 1980년대 말 진출하여 한때 15~20%의 높은 수익률을 거둔 일단의 외국 전력회사들 중 한 곳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전력가격 심사제와 이중가격제 등의 정부 규제 시행에 따라 소규모 외국계 발전회사들이 경영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차례로 중국 시장을 떠나게 되는데, 그나마 끈질기게 버텨오던 AES마저 백기를 들고 만 것.
다음으로는 중국 내 임금 급등으로 생산비용 중 노동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업종에서 외자가 많이 유출된 점을 꼽을 수 있다. 지난 7월 아디다스가 “중국 쑤저우의 공장을 10월 말까지 폐쇄하고 미얀마, 캄보디아 등 동남아로 생산기지를 이전하겠다”고 밝힌 것이 단적인 사례다. 경쟁업체인 나이키는 이에 앞서 2009년 장쑤성 타이창(太倉)에 있던 공장 문을 닫고 최근 베트남에서 새로 생산거점을 구축한 바 있다.
신발, 의류 등 노동집약적 경공업은 임금 증가에 못 이겨 중국을 떠나기 시작한 대표 산업이다. 인건비 부담으로 중국을 떠난 사례는 최근 2년간 미국 기업들에서 많이 발견된다. 포드자동차는 2011년 말 고용 능력이 총 1만2000명에 달하는 중국과 멕시코의 공장을 본국으로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3월에는 가정용 경보기 제조업체인 쟈덴(Jarden)이, 7월에는 스타벅스가 중국의 머그잔 제조공장을 철수시키고 모두 본국으로 돌아갔다.
마지막으로 상당수 외국기업들은 비용 관리, 시장 지위, 수익창출 능력 등을 포함한 종합경쟁력에서 본토 기업들에 밀려 중국시장에서 사라졌다. 예컨대 DHL은 2011년 7월 실적이 부진한 3개 중국 로컬 택배회사의 지분을 팔고, 중국 국내 택배 시장에서 전면 철수했다. 페덱스(FEDEX), UPS 등 다른 글로벌 택배업체들 역시 일부 업무를 접을 것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가전 내수시장에서 글로벌 기업들이 로컬 브랜드들과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전반적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일부 제품은 아예 판매를 중단한 것 역시 시장에서 졌기 때문이다.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한 기술 캐치업과 대량주문을 통한 부품 구매비용 절감, 중국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춘 기능 설계와 디자인, 중국 가전시장의 생장점인 3, 4선 시장에 자체 유통망 구축 등이 로컬기업들의 파죽지세의 성장세를 낳은 원동력이었다.
중국에서 철수 중인 외국 기업들에 대한 전반적 추이를 살펴보면, 불합리한 규제나 임금 코스트 급등에 따른 철수 유형이 대부분이다. 중국이 사회주의적 통제경제를 유지하고 내수 위주의 성장모델 전환을 포기하지 않는 한 끊임없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체 외자 철수 건수에서 이들 유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갈수록 줄어들 것으로 관측된다. 반대로 로컬기업 경쟁력 향상이나 주민의식 제고에 따른 철수 유형은 갈수록 그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외국기업 입장에서 볼 때 중국의 투자 환경이 갈수록 악화될 것이며, 중국 투자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들이 훨씬 많아질 것이라는 점을 의미함으로써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기사제공=유로저널
유럽 평화 발전에 기여?
2012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EU
2012 노벨 평화상은 27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유럽연합(EU)에게 돌아갔다. 오슬로의 심사위원단장 투르뵤른 야글란드(Thorbjorn Jagland)는 “유럽연합이 2차 대전 이후 60년 이상 유럽의 평화적 발전에 기여했기 때문에 이 상을 수여하게 됐다”며, 선정 이유를 발표했다. 이어 “비록 현재 경제위기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해도 위원회는 평화와 민주주의를 위한 성공적인 투쟁이라는 유럽연합의 역할에 집중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현재 총 5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2차 대전 후 독일과 프랑스의 화해가 유럽공동체에 크나큰 기여를 했다”고 높이 평가하며, “두 나라는 과거에 세 차례의 전쟁을 치르기도 했지만 오늘날 양국 간의 전쟁이란 상상할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투르뵤른 야글란드 노벨위원회 위원장은 남부 유럽 국가의 민주적 발전에 기여한 공헌과 베를린 장벽 철거 후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공동체에 속하게 된 점과 발칸지역의 평화 정착을 지적하며 “현재와 먼 앞날의 관점에서 역사적인 상이다”라고 평가했다.
호세 마누엘 바호주 유럽연합 집행위원장도 “5억 유럽연합 회원국 국민들 전체에 커다란 명예이다”라고 말했으며, 메르켈 독일 연방 총리는 멋진 결정이라고 하며 “수상은 격려인 동시에 의무이다. 나에게 개인적으로도 그렇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번 수상을 통한 상금은 93만 유로(약 13억4500만원)이며, 시상식은 오는 12월 10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거행된다.
한편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재정위기로 전 세계가 경제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EU가 수상 자격이 있는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노벨위원회를 둔 노르웨이 국민 사이에서도 부정적 견해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르웨이 일간지 아프텐포스텐이 노벨평화상 선정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7%가 ‘부정적’이라고 답한 반면 ‘긍정적’이라는 대답은 26%에 그쳤다.
기사제공=베를린리포트
스페인, 정부 보조받는 전기자동차 구매 저조
생산업체 부담만 증가
스페인은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상당수의 전기자동차 생산기반을 유치하는 데에 성공했으나 판매가 매우 저조해 생산업체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올해 지난 8월까지 8개월 동안 자동차 총 판매대수가 약 52만 대였지만, 전기자동차 판매는 304대에 불과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판매대수도 같은 기간 중 7129대를 기록해 전년대비 0.44% 증가하는 데에 그쳤다.
스페인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스페인 정부는 2010년부터 전기자동차 구매가의 20%를 실제 구매자에게 현금지원(최대 6000유로)하는 정책을 시행 중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이 판매 실적이 저조한 것은 과도한 판매가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인 문제들로 인해 기존 자동차보다 활용도 면에서 아직 열세에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의 가격은 고급 세단과 맞먹는 3만~3만5000 유로이며 구매 보조금을 지원 받아도 최소 2만4000유로 가량을 부담해야 한다. 또한 매월 전기배터리 임대 명목으로 약 80유로를 추가로 지출해야 함으로 경제적인 부분에서의 메리트가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게다가 현재 시장 내에서 판매 중인 전기자동차들은 일반 자동차에 비해 최대 속도가 너무 느리고 충전시간이 길다는 기술적 한계에 있는 점도 큰 단점이다.
한편 Feebbo 컨설팅의 2012년 앙케이트 조사에서도 전기자동차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전기충전소 인프라 부족(응답자 중 71%), 긴 배터리 충전 시간(56%), 과도하게 높은 차량 구매비용(54%)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마드리드 KBC 관계자는 “스페인 소비자들은 여전히 전기자동차 구매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적어도 당분간은 폭발적인 수요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기사제공=스페인 유로저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