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국의 농악·전통연희·가락, 김천에 다 모였다

시계아이콘01분 2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전국의 농악·전통연희·가락, 김천에 다 모였다
AD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전국의 농악과 전통연희, 향토 가락, 춤, 굿, 민속놀이가 김천에 다 모였다.

13일 김천 종합스포츠타운에서 53번째 '한국민속예술축제'가 개막했다. 지난 1958년부터 시작된 이 축제는 민속예술을 발굴하고, 원형 보존을 위해 추진돼온 행사다.


이날 개막공연에는 지난해 대통령상을 수상한 김천빗내농악이 등장해 위풍당당하고 경쾌한 진굿(군사굿)을 펼쳤다. 올해 참가팀은 이날부터 14일 이틀 동안 경연을 벌이게 된다. 시상은 대통령상(상금 1500만원)을 비롯해 금상, 은상, 동상, 장려상, 아리랑상 등 24개상과 총 68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이날 경연에는 총 11개 팀이 지역적 특색을 닮은 민속놀이, 춤, 굿 등을 선보였다. ▲수표교다리밟기(서울시 수표교다리밟기보존회) ▲백두산 선녀춤(함경북도 함북민속예술보존회) ▲구덕망께 터다지기(부산광역시 사)부산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 ▲평양검무(평안남도 평양검무보존회) ▲고성명태소리(강원도 고성어로요보존회) ▲영변성황굿(평안북도 평안북도영변성황대제보존회) ▲달성이천농악(대구광역시 달성이천농악보존회) ▲만구대탁굿(황해도 만구대탁굿보존회) ▲비금밤달애놀이(전라남도 비금밤달애보존회) ▲돈돌날이(함경남도 사) 함남북청민속예술보존회) ▲허계굿(울산광역시 울산전통고유민속보존회) 등이었다.


다음날인 14일에도 9개팀이 쟁쟁한 실력을 뽐내며 경연에 참가한다. ▲중원들소리(충청북도 중원들소리보존회) ▲우동리 당산제(전라북도 우동리 당산제보존회) ▲갑천춘사새신(대전광역시 대전서구문화원) ▲함안농요(경상남도 함안농요보존회) ▲송악두레(충청남도 송악풍물두레 논매기보존회) ▲답다우는소리(제주특별자치도 덕수리민속보존회) ▲서창만드리(광주광역시 서창만드리보존회) ▲자인팔광대(경상북도 자인팔광대보존회) ▲인천염전일노래(인천광역시 사) 인천염전일놀이보존회) 등이다.


이번 축제의 초청공연에는 전국대학생마당놀이 대상을 수상한 조선대학교 늘품의 남원농악, 36번째 축제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타악그룹 광명의 경기광명농악,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김대균의 줄타기 판줄이 준비돼 있다.


이날 특별행사로는 팔도 농악 명인들의 대향연인 ‘풍물명인전’이 선보였다. 풍물계의 명망있는 명인을 섭외해 개인의 기량을 유감없이 펼치는 한마당으로, 풍물의 미래를 열 젊은 명인의 향연이다. 14일에는 연변 조선족의 민속예술, 퉁소연주가 소개될 예정이다.


한국민속예술축제는 대한민국 수립 10주년 기념행사를 겸해 지난 1958년 8월 13일부터 18일까지 장충단 야외 육군체육관(지금의 장충체육관)에서 문화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해 첫 거행됐었다. 이때는 축제의 의미에 비중을 더 두었으며, 농악·민속극·민요·민속놀이 등이 공연됐다.


이후 1961년 2회째 대회가 개최된 후 해마다 열리고 있는 축제다. 개최 장소도 1966년까지는 서울에서 열렸으나, 그 이후로는 해마다 각 도를 순회하며 장소를 바꿔 9~10월께 열리고 있다.


1~2회 대회에서는 하회별신굿탈놀이와 봉산탈춤 등 민속극이 대상인 대통령상을 받았으나, 이후로는 각 도의 농악이 발굴돼 발표되면서 한동안 농악이 대상을 휩쓸었다. 특히 전국으로 개최장소가 확대되면서 민속놀이 발굴이 활발해지면서 대형화된 민속놀이가 등장하게 됐다. 또 이북5도(평안북도, 평안남도, 함경북도, 함경남도, 황해도)에서도 참가해 북한 현지에서도 사라진 귀중한 민속예술을 발굴하여 보존하는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한때 경연대회라는 성격 때문에 지나친 경쟁심을 불러일으키거나 민속예술 자체가 대형화, 상품화되는 등의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해 지난 1999년부터 대회 명칭을 현재의 한국민속예술축제로 변경했다.


경연종목은 농악·민속극·민요·민속놀이·민속무용 등 5종목의 경연 종목이 자연히 생겨났으나 현재는 생업·의례·연희·놀이·무용·음악 등으로 변경됐다.


한편 지난 48번째 대회까지 이 축제를 통해 중요무형문화재 36종, 시·도무형문화재 103종 등 139종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바 있다.




오진희 기자 valer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