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산업·규모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유연근무제 도입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경쟁국의 근로시간 운영사례 연구'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의 연간 총 근로시간은 선진국들보다 긴 측면이 있지만 아시아 경쟁국인 싱가포르·홍콩·대만 등과는 비슷하거나 오히려 짧다"며 이같이 밝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및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연간 실근로시간은 2193시간으로 독일(1419시간)·일본(1754시간)·미국(1778시간)에 비해서는 많지만 대만(2174시간)·싱가포르(2392시간)와 비교할 때는 비슷하거나 적었다.
연장근로 한도도 대부분 국가에서 정부가 규제하기보다는 노사자율로 결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각국의 근로시간 단축도 장기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경총은 "선진국의 근로시간 단축은 불황기 일자리유지 차원에서 이뤄졌다"며 "우리나라와 같이 고용창출을 위해 인위적으로 단축한 사례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총은 "근로시간 단축은 일자리 창출 및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단기적 당위성뿐 아니라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과 근로시간 및 임금 유연성 확보, 유연·탄력근무제 확대, 노사간 협력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추진돼야 한다"며 "2020년까지 연 1800시간대로 단축키로 한 노사정 합의에 따라 점진적인 근로시간 단축을 위해 개별 기업과 근로자들의 양보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민규 기자 yush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