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스마트러닝 포럼]KT "스마트러닝 산업 활성화 박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이희만 KT M&C부문 스마트러닝TF 담당 상무 발표

[스마트러닝 포럼]KT "스마트러닝 산업 활성화 박차" 이희만 KT 상무
AD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KT가 향후 스마트러닝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공개했다. 통신 기업인 KT만의 장점을 살려 콘텐츠 공급 업체와 구매자 간에 최적화된 플랫폼을 제공하는 역할에 주력하겠다는 계획이다.


19일 열린 제2회 스마트러닝포럼에 연사로 참석한 이희만 KT M&C부문 스마트러닝TF 담당 상무는 "KT만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러닝의 장점을 살려 고객층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전국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인프라와 롱텀에볼루션(LTE)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해 스마트러닝 관련 사업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지다.

이 상무는 "오직 KT의 스마트러닝을 통해서만 경험할 수 있는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기존 오프라인 교육과 차별화를 시도하고 경쟁력을 갖춰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KT에 따르면 기존의 교육 시장은 학습지, 교재 등 출판물이나 오프라인 학원 강의를 수강하려는 성향이 강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따라 KT는 이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위해 우선 스마트러닝을 기존 출판사나 학원, 콘텐츠 제공 업체의 오프라인 사업 지원 수단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스마트러닝 사업으로 인해 기존 시장이 잠식될지 모른다는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서다. 또한 정부 정책에 의해 추진되는 스마트러닝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이 상무는 이 같은 스마트러닝이 확산되면 교육 격차의 불균형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스마트러닝에 적합한 대상으로는 비싼 과외를 받거나 학원에 다닐 형편이 되지 못한 가정의 초등학생 자녀, 대학 입시 준비생, 거동이 불편한 노년층 등이 있다"며 "스마트러닝은 이들에게도 균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마트러닝은 중소 교육 사업자에게도 성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상무는 "아이디어는 가지고 있지만 자금력이 부족한 소규모 학원 운영자의 경우 스마트러닝 교육 콘텐츠를 개발해 모바일로 제공하는 것은 물론 해외 수출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KT는 이번에 공개한 스마트 러닝 사업 전략을 바탕으로 스마트홈 패드와 키봇 등을 이용해 다양한 타깃 층을 대상으로 스마트러닝 산업을 주도하겠다는 계획이다.




김철현 기자 kc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