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지난 2008년 금융위기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파생상품인 '키코(KIKO)'를 사들인 기업들은 막대한 손해를 안고 휘청거렸다. 당시 정부와 정치권은 키코 피해기업에 대한 구제에 적극 나서겠다고 목소리를 높였지만, 키코사태 이후 4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여전히 기업들은 구제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키코피해기업공동대책위원회(이하 키코피해위원회)에 따르면 등록된 기업 240개 중 50여곳이 부도 또는 파산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키코피해기업 공동대책위원회를 이끌었던 김원섭 위원장 역시 회사가 키코 후유증을 극복하지 못하고 최근 부도위기에 처해있다.
2008년 10월 200여개 기업이 피해금액을 보상해 달라며 소송을 제기했지만, 법원이 지난 2010년 1심에서 "키코는 불공정상품이 아니다"라며 은행 손을 들어준 이후로는 70여개 기업이 항소를 포기했다. 2심까지 간 기업 130개 중 지금까지 결과를 받은 곳도 20곳에 불과하다.
키코 피해기업들은 금융당국 및 정부가 기업들의 피해를 책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안용준 티엘테크 사장은 "키코사태의 실질적 책임을 져야 할 사람들은 당시 금융정책 및 감독을 담당한 이들과 은행"이라며 "억울하게 피해를 당한 중소기업들을 보호해 주는 시스템이 시급히 도입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5일 키코피해위원회는 키코 관련 금융정책 및 감독 실패에 대한 책임을 물어 전광우 전 금융위원회 위원장(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과 김종창 전 금융감독원장을 고발했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