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화물연대의 총 파업으로 건설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일부 건설사들은 철근을 비롯한 일부 기자재를 미리 조달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모습이지만 현장 운영에는 적지 않은 피해가 이어질 전망이다.
현재 건설사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레미콘과 같이 미리 준비할 수 없는 자재의 수급과 운송 시스템의 차질이다. 특히 항만, 항공을 통해 들여오거나 해외현장으로 보내야 할 설비가 있는 경우에는 적잖은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이로인해 공정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면 공사기간이 지연되고 이에따라 제조업체들의 생산계획에도 차질이 발생할 전망이다.
이렇다보니 일부 현장에서는 자재나 설비가 들어가는 공정의 순서를 바꾸거나 공사 일정을 바꾸는 임시방편으로 대응한다는 전략을 마련해놓고 있다. 하지만 현재 확보된 자재를 먼저 돌려 공사를 진행한다 하더라도 파업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경우 피해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게 건설사들의 입장이다.
해외 사업장도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설비와 기자재를 국내에서 조달받는 사업장의 경우 항만이나 항공으로 납품이 이뤄져야하는데 이번 파업으로 운송 자체가 쉽지 않아져서다. 발주처는 물론 메인 시공사와 하청업체들의 2~3차 피해가 예상될 수밖에 없는 것도 같은 배경이다.
반면 이번 파업으로 인한 피해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 100%로 가동되고 있는 현장이 많지 않은 이유에서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일반 사업장의 경우 매년 6~8월을 장마와 폭염으로 공정이 늦춰지는 시기로 분류해 (파업이)장기적으로 이어지지만 않는다면 피해규모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토해양부 역시 지난 주말 항만의 컨테이너 장치율은 평시보다 상승했지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화물차운전자의 집단운송거부가 현실화되고 않고 운송방해 등 불법행위도 눈에 띄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본격적인 파업 움직임으로 물류 차질이 현실화될 것을 감안해 철도와 연안해운 수송을 확대하고 군 위탁 컨테이너 차량 투입, 자가용 유상운송 허용 등을 통해 대체수송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화물연대의 이번 파업을 엄정대처하기로 했다. 특히 운송거부 화물운전자의 경우 6개월간 유가보조금 지급(연간 최대 1786만원)을 정지할 방침이다. 운송방해 운전자에 대해서는 운전면허 정지·취소 또는 화물운송종사자 자격 취소 등의 조치도 이뤄진다. 이밖에 불법행위 주동자는 불법 집단행동에 따라 발생한 결과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묻기로 했다.
배경환 기자 khb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