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상미 기자]서울시가 ‘20세기 서울’의 역사를 간직한 유산들을 보존·발굴하는 ‘미래유산프로젝트’를 시작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7일 오전 11시 서울시청 브리핑실에서 “20세기를 살아온 발자취인 근·현대 문물의 미래유산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박 시장은 발표에 앞서 “‘서양문물이 도입되기 시작한 1890년부터 일제 강점기를 거쳐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룩한 20세기 격동의 근·현대사를 대표하는 보물은 무엇일까? 이를 어떻게 보존·활용해야 하나?’하는 질문에서부터 이 프로젝트가 시작됐다”고 밝혔다.
그는 “숨가쁘게 달려온 개발의 시간 속에서 너무 많은 근현대 역사적 유적을 잃었다”며 “더 늦기 전에 지금 사라지고 있는 것을 붙잡고 남겨서 20세기 역사를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미래유산프로젝트는 기존의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보호받지 못하는 근현대 역사문화 유산을 대상으로 하고, 역사적 공과에 관계없이 근·현대사적 대표성을 기준으로 복원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박 시장은 “문화재청의 지정을 받지 못하면 전혀 보호받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하며 “평가를 통해 보존하는 게 아니라 보존한 후에 미래 세대에서 평가받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박 시장과의 일문일답.
-재개발 지역과 유적으로 보존해야 하는 지역이 겹치면 어떻게 되나.
▲지금까지의 뉴타운 정책방향은 광역적인 개발에 치중해왔다. 그렇다보니 주민들의 반대도 많았고, 보존해야 할 유적들이 제대로 가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아파트 단지만 들어서는 식으로 진행됐던 측면이 있다. 서울시는 뉴타운, 재개발, 재건축과 관련해 맞춤형, 소규모형 개발을 하겠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다.
옥인동 재개발 사례에서 보듯 가능하면 주민들의 욕구를 충족하는 동시에 역사성도 살려보자는 서울시 나름의 원칙을 가지고 주민들과 협의해나가고 있다. 서울미래유산프로젝트는 주거단지 개발보다 폭넓은 개념으로 둘 사이에 직접적 관련성은 없다. 하지만 구룡마을, 장수마을 등 역사적인 마을이 재개발 대상이 되지 말라는 법은 없다고 생각한다.
성북동의 박경리 가옥 역시 재개발 지역으로 돼 있었지만 박경리의 유족들이 보존의 필요성 제기해 재개발 구역에서 제외한 사례도 있다. 재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근현대유적이 지역내에 포함돼 있을 경우, 적극적으로 보존하겠다는 취지다.
-문화재 지정은 사유재산권이 제한하는 문제와 결부돼 있다.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 활성화를 통해 시민들의 관심을 유도하자는 계획만으로는 부족한 게 아닌가?
▲중앙정부가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지정한 문화재는 분명히 강제력이 있다. 사적소유권을 제한하기도 한다. 하지만 서울형 미래유산은 이러한 강제력이 없다. 그래서 시민들의 참여가 굉장히 중요하다.
현재 사회의 많은 부분에서 큰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문화재 보호의 중요성을 시민들이 깨달아가고 있는 것이다. 사라져 가는 것에 반대하는 시민들의 움직임에 서울시가 동참하면 더 큰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다고 본다. 시민적 의식과 각성을 기초로 해서 이 운동이 성공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상미 기자 ysm125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