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원조, '받는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24년간 57배↑

시계아이콘00분 5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최근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ODA) 실적을 보면 이런 평가가 무색하지 않다. 수출입은행이 지난 달 31일 펴낸 '숫자로 보는 ODA' 통계자료집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ODA 실적은 통계를 처음 시작한 1987년(2300만달러) 대비 57배 늘어난 13억2000만달러를 기록했다.

ODA란 정부 등 공공기관이 타 개발도상국에 유·무상으로 개발자금 및 기술적 지원을 해 주는 것으로, 민간지원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우리가 외국에 원조를 처음 시작한 것은 1965년부터다.


원조 초기에는 직접 지원보다 국제기구에 대한 출자의 비중이 높았다. ODA는 국가 사이에 진행되는 양자간 원조, 국제기구에 대한 출자 및 출연을 통해 진행되는 다자간 원조로 나뉜다.

다자간 원조의 비중은 1987년 95%(2200만달러)에서 2000년 37%(8000만달러)로 줄었으며, 2010년에는 23%(2억7300만달러)로 하락했다. 국제기구에 대한 출자액이 줄어든 것이 아니라, 개도국에 대한 직접 투자액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양자간 원조 비중은 1987년 5%(140만달러)에 불과했으나 2000년에는 63%(1억3100만달러)로 증가했으며, 2010년에는 77%(9억달러)로 훌쩍 뛰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의 비중이 2010년말 현재 65%로 가장 높고, 아프리카가 15%, 아메리카가 7%로 아시아의 비중이 절대적이다. 베트남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 연속 1위 지원국가를 차지하기도 했다.


차관, 출자 등의 유상원조보다 기술협력, 식량원조 등 무상으로 진행되는 원조 비중이 높아진 것도 특징이다. 지난 2000년 무상원조 비중은 64%(8300만달러) 유상원조는 36%(4700만달러)를 기록했으나, 10년 후인 2010년말에는 유상원조가 36%(3억2600만달러), 무상원조가 64%(5억7300만달러)로 역전됐다.


우리는 6.25 발발 이후 1990년대 중반까지는 ODA를 통한 원조를 받는 '공여대상국가' 였다. 그러다가 '한강의 기적'을 겪으며 눈부신 경제성장에 성공, 이제는 '원조를 주는 나라'로 탈바꿈했다. 지난 2010년에는 원조 선진국들만이 가입할 수 있는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했다. 서울 주요20개국(G20) 회의에서도 ODA 개발 의제를 공식화하는 등 국제사회에서 '원조 공여국'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