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30년 무허가촌 ‘재건마을’… 공영개발로 탈바꿈

시계아이콘01분 0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1만2632㎡규모에 공공주택 316가구 건립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서울 강남에 위치한 무허가 판자촌 ‘재건마을’이 30년만에 공영개발로 탈바꿈한다.


23일 서울시는 강남구 개포동 1266 일대에 대한 공영개발 계획안을 담은 재건마을 정비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개발은 현지 거주민들이 재정착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주위환경에 어울리는 친환경적 개발과 외부 투기세력 차단, 그리고 현지 거주민과의 협조체제 유지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사업 부진시 현지 거주민들의 주거대책 미비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 공공관리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SH공사 주도의 공영개발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앞서 서울시는 현 거주민의 주민등록을 바탕으로 한 실태조사를 통해 세대수에 따른 규모별 국민임대아파트를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투기꾼들의 무임승차를 방지하고자 지역 주민들의 주민등록 등재를 유도, 2월 기준 총 82가구 170명이 주민등록을 완료했다.

이로써 1만2632㎡규모의 재건마을에는 총 316가구의 장기전세주택(234가구)과 국민임대주택(82가구)이 들어선다. 특히 현재 거주하고 있는 82가구 약 170명 모두가 100% 임대주택에 재정착하게 된다.


기존에는 공익사업으로 인한 철거민들이 한 번 임대주택에 입주하면 다른 임대주택으로 이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서울시는 주택건설사업이 진행되는 동안 이미 건설된 SH공사 임대 공가에 우선 입주했다가 주민이 원하면 다시 당해 부지에 준공된 임대주택에 입주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또한 야간, 호우, 한파 등 악천후와 겨울철에는 이주와 철거를 금지하도록 해 세입자들의 주거안정을 강화할 방침이다.


재건마을 주민 대부분이 기초생활수급자, 간이공작물 및 무허가건축물 거주자임을 감안해 국민임대주택과 장기전세주택을 혼합 건립, 주민 전원을 수용할 계획이다. 이 경우 거주민 보호를 위해 일정한 자격요건만 충족된다면 이주비 지원과 무허가 건물에 대한 손실을 보상하기로 했다.


이건기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SH공사 주도의 공영개발로 서울시의 오랜 숙제였던 재건마을이 다시 태어나고 주소지 없이 판자촌 생활을 했던 시민들도 주거안정을 찾을 수 있게 됐다”며 “공정하고 투명한 개발을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구체적인 개발계획안은 SH공사에서 마련한다. 이후 서울시에서 관계부서 협의 및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한 뒤 2013년 2월께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하기로 했다.

30년 무허가촌 ‘재건마을’… 공영개발로 탈바꿈 강남구 재건마을 위치도 / 서울시
AD




배경환 기자 khb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