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피할 수 없는 재앙을 응시하는 버거운 일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멀티미디어 작가 노현탁의 ‘거대한 힘 그리고 공포’

피할 수 없는 재앙을 응시하는 버거운 일상 scene, 96㎝ × 227㎝ oil on canvas, 2011
AD


멀티미디어 작가 노현탁의 ‘거대한 힘 그리고 공포’두리번거리네. 무엇을, 대체 어떡하다 잃어버렸는지. 샘 보다 맑고 깊은 마음 속 수줍은, 本能. 행복은 그대 자상한 도덕적 정신이 빚어내는 기쁨. 이젠 맛보시라!

길은 순례처럼 꼬불꼬불하다. 말(言)도 소리도 없는 신성한 성역에 감도는 기운같은 어떤 예감. 시계처럼 한 방향으로 맴도는 물의 구심력. 가속으로 부대끼며 생겨난 허연 물살이 점점 중심으로 모여들면 미친 듯이 파고는 높아져 갔다. 언덕위에서 바라보던 비취빛 물결은 최고의 명물로 눈길을 끌었던 탓 때문이었을까.


참을 수 없는 분노에 몸부림치는 거대한 흰 수염고래의 등장이라고 사람들은 더 몰려들었다. 깨끗하고도 풍성한 햇살이 안온하게 드리우는 언덕에서 바라보는 끓어오르는 욕망같은 현란한 바다의 마법. 그 짧은 망각의 풍경이 파노라마처럼 스치는 찰나, 불과 몇 발자국 앞에서 뻣뻣하게 선 채로 물기둥이 달려들 때 재앙을 직감했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

사람들은, 위용과 징후라는 단어를 들이대며 규모의 정보를 조목조목 분석하고 전문성을 강조했지만 불행히도 그 심원(深源)하고도 사나운 힘을 경험한 사람들은 침묵했다. 그날 저녁 허공을 흐르는 구름과 출렁이는 바다는 온통 선연한 진홍색 핏빛이 몰려들어 인적없는 만(灣)을 오래도록 드리웠다.


아무것도 남김없는 완전한 소멸. 큰 키의 등대가 노을빛 속으로 들어가 ‘왜’냐고 울부짖으며 대들었지만 한걸음도 나아가지 못했다. 물기로 축축한 절벽 바위에서 똑똑 떨어지는 물방울의 경쾌한 낙하 소리가 정적을 깼다. 그때 주검과 생성의 징표처럼 푸른 이끼가 걷힌 웅덩이에 일렁이는 화석(化石).


피할 수 없는 재앙을 응시하는 버거운 일상 room, 117㎝ × 91㎝ acrylic on canvas, 2010

소멸이란 숙명에 알몸이 된 인간
오오, 허물어지는 것의 질서. 피할 수 없는 인간이라는, 숙명(宿命)! “우리가 이 세상으로부터 소멸한 뒤 참으로 개울물이 될 수 있고 조약돌이 될 수 있을까, 우리는 모래와 바람과 하늘 속에서 알몸이 된 채 입술을 깨물었어라.”<이세방 詩, 모래성>


그는 난간에 걸터앉아 생각에 잠겨 도시를 내려다본다. 꾹 다문 입술, 두 손을 꽉 쥐고 어딘가를 응시하는 눈빛. 그의 안전을 보장하는 건 최소화된 움직임뿐이다. 애써 무표정한 얼굴엔 저항하듯 예민한 언어들이 살아있다. 대개 이런 경우의 덕담이란 이를테면 잘 듣는 것이 훌륭한 답변이 된다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러나 아래의 깊이를 알아야하는 것은 자신의 몫이다.


무엇을 바라보고 있는 것일까. 사랑의 조건은 동등이라며 자리를 박차고 나갔던 여인이 풋풋한 향기를 휘날리며 달려오는 기적, 어떤 사건의 중요한 단서? 아니면 “대지의 생명으로부터 분리돼 있다는 것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버거운 일상의 권태?<버트런드 러셀(Bertrand Russell) ‘행복의 정복’, 이순희 역>



노현탁 작가와의 대화
예측못한 힘과 마주친 인간의 심리적 갈등 담고파


피할 수 없는 재앙을 응시하는 버거운 일상

화면엔 뭔가 아슬아슬한 긴장감이 감돈다. 위험에 직면해있는 상황과 이를 평화롭게 바라보는 대비. 그런가하면 마치 곡예사처럼 덩그렇게 공중에 걸터앉은 개인의 풍경이 그렇다. 또 하나는 어디선가 본 듯한 이미지다.
이는 국내뿐 아니라 일본 만화 등의 한 컷, 영화의 한 장면을 차용해 거기에 작가의 상상력을 불어넣거나 이 둘의 장면을 조합해 재구성 한 작품들이기 때문이다. 작가는 “예측하지 못한 힘과 마주칠 때의 더욱더 강렬한 반응을 일으키는 공포감 등 거역할 수 없는 거대한 힘과 그것에 부딪히는 인간의 심리적 갈등이 관심사”라고 강조했다.
모순되거나 극한적인 정황들을 흥미롭게 풀어가는 그의 화면은 그러나 상황의 아이러니뿐 아니라 관람객으로 하여금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다시 찾아보게 하거나 연민을 느끼게 하는 독특하고도 강렬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작가는 “스스로에게 따뜻한 애정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에게 존경심을 품고 행복하게 살아가기를 희망 한다”면서 “균형 잡힌 현실에 초점을 두고 기울기를 보려하기 때문이 아닐까요?”라고 반문한다. 멀티미디어 작가 노현탁은 목원대 미술학부를 졸업했다. 수원미술전시관에서 개인전을 가졌고, 2006 CGV 비디오아트 페스티발(서울, 대전, 마산) 등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이코노믹 리뷰 권동철 기자 kdc@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