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안보정상회의가 오는 26일부터 이틀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최대 핵 보유국인 미국 등 50여개국 정상과 반기문 유엔(UN) 사무총장 등 여러 국제기구 대표가 참석하는 대규모 국제행사다.
그에 앞서 오늘 실무 교섭대표들이 정상회의에서 채택할 선언문(서울 코뮈니케) 초안을 완성하기 위한 회의를 갖는다. 세계 원자력업계 회의인 원자력 인더스트리 서밋도 오늘 부대행사로 개막된다. 사실상 오늘부터 행사가 시작되는 셈이다. 이에 따라 경찰은 오늘부터 갑호 비상에 들어가는 한편 군과 경찰 병력 5000여명을 요소요소에 배치한다.
핵안보정상회의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제안에 따라 지난 2010년 미국 워싱턴에서 처음 열렸고 이번이 두 번째다. 회의 주제는 핵무기와 무기급 핵물질에 대한 테러 집단의 접근 방지 대책을 중심으로 한 '핵안보' 방안이다. 원자력발전소 관련 핵시설 사고와 같은 우발적 핵위험에 대비하는 '핵안전'은 주제가 아니다. 북한의 핵무기나 미사일 문제도 그렇다.
하지만 변수가 생겼다. 북한이 지난주 장거리 미사일 광명성 3호 발사 계획을 발표하면서부터다. 이 때문에 한ㆍ미, 미ㆍ중 정상회담 등 다양한 양자회담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저지 및 핵무기 프로그램 폐기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반 사무총장도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명백하게 위반했다"며 "여러 정상들과 이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북한은 '북핵 문제를 거론할 경우 선전포고로 간주하겠다'며 반발하고 있다.
북한의 핵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우리 안보에 위협이 될 가능성에 대한 경계와 대응은 필요하다. 다만 이번 회의 기간에 이 문제를 과도하게 부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한가는 생각해 볼 문제다. 6자회담이나 관련국 간 채널 등 적절한 국제협의 틀을 통해 진지하게 논의하는 것이 합리적인 동시에 효과적일 것이다.
1년 전에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원전의 안전성 문제도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 또한 원전의 안전성을 주장하고 원전기술을 홍보하는 기회로 삼으려는 움직임이다. 우리는 주최국이다. 과도한 '원전 세일즈'는 자제하고 핵안보의 비전을 제시하는 역할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대규모 정상회의의 안전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